장기실업·고립청년 취업 돕는다…고용부 맞춤 프로그램 실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장기실업·고립청년 취업 돕는다…고용부 맞춤 프로그램 실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5-01-09 12:01

본문

23일까지 사업 수행 지자체 공모
심리상담·자기소개서 작성 등 지원
2025년 청년도전지원사업 개요 사진고용노동부
2025년 청년도전지원사업 개요. [사진=고용노동부]
#잦은 면접 탈락 등 반복된 실패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던 A씨는 정부의 도전지원사업에 참여한 후 상담, 진로탐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 교육서비스업에 취업했다.

#수차례 이직을 하며 자존감이 떨어져 우울감을 호소했던 B씨는 청년성장프로젝트를 수료한 이후 진로 설계에 성공했다. B씨는 "내 꿈과 자신감을 찾았다"며 소회를 밝혔다.

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장기실업 청년의 구직을 위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9일 고용부에 따르면 고용부와 지자체는 청년도전지원사업과 청년성장프로젝트를 진행해 사회적 고립 청년 등의 취업을 지원한다.

청년도전지원사업은 6개월 이상 장기실업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구직 활동을 단념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올해는 1만2000명 청년을 1대1 밀착 지원할 예정으로 전년 대비 정원을 3000명 확대했다. 심리상담과 자조모임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5주·15주·25주 이상 제공한다. 특히 도전지원사업에 참여한 청년들이 도움이 필요한 또래를 직접 발굴·지원하는 또래지원단을 적극 운영할 예정이다.

청년도전지원사업 참가자는 2021년 3287명에서 지난해 9812명으로 확대됐다. 구직을 포기했던 청년들이 국민취업지원제도 등으로 연계돼 취업을 준비하거나 바로 취업에 성공하는 사례도 2021년 58.1%에서 2023년 68.6%로 증가했다.

올해 사업 2년차를 맞는 청년성장프로젝트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방문할 수 있는 청년카페를 조성해 이들의 사회 단절을 예방하는 사업이다. 자기소개서 작성, 취업전략 수립 등 지역 청년에게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설계·지원한다.

지난해에는 30개 지자체에서 63개 청년카페를 운영해 6만5841명을 지원했으며 올해는 5만명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올해는 부모교육을 신설해 부모의 지지를 기반으로 한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도 지원한다.

고용부는 오는 23일까지 두 사업을 운영할 자치단체를 공모한다. 자세한 내용은 고용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홍경의 청년고용정책관은 "청년의 도전과 성장을 돕는 두 사업은 지역 기반의 찾아가는 서비스가 매우 중요하다"며 "지자체와 협력해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제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김유진 기자 ujeans@ajunews.com

★관련기사

장기실업·고립청년 취업 돕는다…고용부 맞춤 프로그램 실시

고용부, 산업재해 예방 등 힘쓴 올해의 산업안전감독관 6명 선정

고용부, 올해 첫 현장점검의날서 화재·폭발·붕괴사고 점검

고용부 2024년 올해의 고용서비스상 선정

고용부·안전보건공단, 위험성평가시스템 공개…중소기업 부담↓


★추천기사

[단독] "운항스케줄 재검토하라" 지침에 국내 항공사 11곳, 사업계획 변경 고심

백골단 부활선언..."강력한 수단 동원해야 위기상황 극복"

당정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내수 진작 효과 예상"

[인더스트리 리포트] 백화점의 진화…명품 구매부터 MZ 놀이터까지

[탄핵 블루 경보] "경기냐 환율이냐" 새해 첫 금통위 선택은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95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79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