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령액 올랐다면서요?"…얼마 받나 보니
페이지 정보

본문
- 국민연금 수령액 이달부터 2.3% 오른다…기초연금도 늘어
- 복지부, 2025년도 1차 국민연금심의위 개최
- 기본연금액·부양가족연금액↑…재평가율 고시
- 기준소득월액 상한 637만원·하한 39만원 조정
- 복지부, 2025년도 1차 국민연금심의위 개최
- 기본연금액·부양가족연금액↑…재평가율 고시
- 기준소득월액 상한 637만원·하한 39만원 조정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이달부터 국민연금, 기초연금 등 연금 수령액이 지난해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2.3% 오를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제1차 국민연금심의위원회를 통해 국민연금액을 인상하고 올해 적용하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을 조정하기로 결정했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국민연금을 받는 약 649만명이 지난해 물가상승률2.3%만큼 오른 기본연금액을 이달부터 받게 된다. 배우자나 자녀, 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정액 지급되는 부양가족연금 역시 같은 비율로 오른다. 배우자는 연간 30만 330원, 자녀·부모는 20만 160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6750원, 4500원 인상된다.
올해 국민연금 신규 수급자의 급여액 산정에 적용되는 ‘재평가율’도 새로 결정됐다. 재평가율은 신규 수급자의 과거 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곱하는 계수로, 매년 관련 법령에 따라 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이 재조정해 고시하고 있다.
올해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617만원에서 637만 원으로, 하한액은 39만원에서 40만 원으로 각각 변경된다. 최근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A값이 지난해보다 3.3%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기준소득월액은 연금보험료와 연금액을 산정하기 위한 소득으로,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매년 조정된다.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도 A값 변동률을 반영해 매년 자동으로 조정된다.
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반영해 ‘국민연금 재평가율 및 연금액 조정’ 고시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과 상한액’ 고시를 개정하고 재평가율 및 연금액 인상은 1월부터,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은 7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한편, 기초연금 기준연금액 역시 기초연금법에 따라 지난해 물가 상승률만큼 오른다. 노인 단독 기준으로는 7700원 늘어난 34만 2510원, 노인 부부 기준으로는 1만 2320원 증가한 54만 8000원이다. 약 736만 명의 어르신들은 1월부터 인상된 기초연금액을 지급받게 된다. 복지부는 관련 고시를 1월 중 개정할 계획이다.
▶ 관련기사 ◀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이지은 jeanlee@
|
이에 따라 현재 국민연금을 받는 약 649만명이 지난해 물가상승률2.3%만큼 오른 기본연금액을 이달부터 받게 된다. 배우자나 자녀, 부모 등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정액 지급되는 부양가족연금 역시 같은 비율로 오른다. 배우자는 연간 30만 330원, 자녀·부모는 20만 160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6750원, 4500원 인상된다.
올해 국민연금 신규 수급자의 급여액 산정에 적용되는 ‘재평가율’도 새로 결정됐다. 재평가율은 신규 수급자의 과거 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하기 위해 곱하는 계수로, 매년 관련 법령에 따라 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이 재조정해 고시하고 있다.
올해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617만원에서 637만 원으로, 하한액은 39만원에서 40만 원으로 각각 변경된다. 최근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A값이 지난해보다 3.3%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기준소득월액은 연금보험료와 연금액을 산정하기 위한 소득으로,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매년 조정된다.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도 A값 변동률을 반영해 매년 자동으로 조정된다.
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반영해 ‘국민연금 재평가율 및 연금액 조정’ 고시와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하한액과 상한액’ 고시를 개정하고 재평가율 및 연금액 인상은 1월부터,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은 7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한편, 기초연금 기준연금액 역시 기초연금법에 따라 지난해 물가 상승률만큼 오른다. 노인 단독 기준으로는 7700원 늘어난 34만 2510원, 노인 부부 기준으로는 1만 2320원 증가한 54만 8000원이다. 약 736만 명의 어르신들은 1월부터 인상된 기초연금액을 지급받게 된다. 복지부는 관련 고시를 1월 중 개정할 계획이다.
▶ 관련기사 ◀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지은 jeanlee@
관련링크
- 이전글일본발 진에어, 기체결함으로 결항…제주항공 그 기종 25.01.09
- 다음글"도수치료 비용, 환자부담 90~95%로"…보험금 빼먹기 실손보험 확 바뀐... 25.01.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