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회장, 마지막 퍼즐 中 재정비 본격 추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정의선 회장, 마지막 퍼즐 中 재정비 본격 추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01-09 15:31

본문

정의선 회장, 마지막 퍼즐 中 재정비 본격 추진
제공=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의 마지막 퍼즐인 중국 시장 재정비에 나섰다. 중국은 과거 현대차·기아의 핵심 판매국으로, 최근 판매량 부진을 겪는 아픈 손가락으로 변모했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30년 글로벌 판매량 985만대를 목표로 내걸었다. 핵심 시장인 미국, 유럽, 인도를 넘어 아중동, 호주, 남미 등으로 글로벌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글로벌 점유율을 높이겠다는 그룹의 장기 전략에 따라 부진했던 중국 공장에 투가 투자를 결정, 수출 기지로 활용할것으로분석된다.

현대차·기아는 현지 추가 투자 및 맞춤형 신차 연구개발을 통해 중국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9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와 중국 장쑤웨다그룹의 합작 법인 웨다기아의 지난해 연간 판매량은 24만8259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49.2% 증가한 수치이며, 중국 합작 브랜드 중 매출 증가율 1위이기도 하다. 중국 현지 맞춤형 전기차 EV5 출시 및 수출 기지 활용 등이 반전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23년, 송호성 기아 사장은 중국에서 중국 신에너지 전략 콘퍼런스를 열고, 현지 시장 공략 속도를 높일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송 사장은 2027년까지 중국 시장에 매년 1대 이상의 전기차를 출시하고, 2027년까지 총 6개 모델을 선보이겠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다양한 차종으로 중국 시장 연간 판매량 45만대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운 것.기아 옌청공장의 연간 수출 규모를 2026년까지 연간 20만대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설명이다.

공약에 따라 지난해 웨다기아는 EV5 720 장거리 버전, 2025 EV5 및 EV5 GT-Line을 연속으로 출시했다. 게다가 EV5 기본 모델의 시작가를 2000만원 후반대14만9800위안로 책정하며 시장 반전을 노렸다.

옌청공장에서 수출 모델 세투스Sethus, K5 등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은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전 세계 76개국으로 수출했다. 이에 웨다기아는 손익분기점BEP을 넘긴 상황이다.

기아가 중국 시장에서 반전에 성공하자 현대차도 중국 시장 공략 속도를 높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달 중국 파트너사인 베이징자동차BAIC와 합작법인 베이징현대에 총 10억9600달러1조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결정했다. 현대차와 BAIC가 각각 5억4800만달러8000억원씩 균등 투자하는 방식이다.

투자금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Extended Range Electrified Vehicle와 같은 현지 소비자 맞춤형 신차 연구개발Ramp;D, 수출 공장으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설비 투자 등에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의 장기 플랜에 따라 현대차·기아 중국 공장 활용도가 자리를 잡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평가다.

과거 중국과 러시아는 현대차·기아의 주력 수출 무대였다. 사드 사태로 한한령이 시작되기 직전인 2016년, 양사의 중국 시장 합산 판매량은 179만대로,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당시 현대차는 중국 공장을 5개까지 늘리며 연산 120만대 규모로 키웠다. 그러나 한한령 영향으로 중국 판매량이 80% 넘게 급감한 이후, 베이징현대는 보유한 공장을 처분하며 수익성 제고에 나선 바 있다.

양사는 그룹의 2030년 플랜에 따라 글로벌 판매 985만대를 목표로 한다. 기아의 중국 공장이 수출기지로서 활용도를 입증한 만큼, 현대차 역시 중국 공장을 미래 수출 기지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과열된 중국 전기차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과도한 인센티브를 지급하며 판매량 확보에 목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중국 시장에서 여타 완성차가 어려움을 겪는데, 현대차는 추가 투자하는 이유를 묻자 "경쟁력 있는 규모를 갖춘다면 중국 공장을 수출 기지로 활용할 수도 있고, 현지 소비자가 원하는 수준의 가격 경쟁력을 갖춰 중국 내수 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의선 선제적 투자, 63兆 올해 마무리… 국내 경제 활성화 기폭제


정의선의 역발상… 위기 돌파 위해 역대 최대 24조 투자

정의선의 혜안…트럼프 리스크 선제 투자 비책

[스케치] 정의선 회장, 신년회서 직원 회식 장려한 까닭은

실패의 성공학 정의선 회장…"잘 버티자는 나쁜 전략…실수해도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18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71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