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연 117조 원 투자
페이지 정보

본문
[이투데이/김우람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로고가 2022년 3월 2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 전시돼 있다.바르셀로나스페인/AFP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기술 구현을 위한 데이터센터에 연간 800억 달러약 117조7600억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MS는 이날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 명의로 자사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오늘날 미국은 민간 자본의 투자와 미국 기업들의 혁신 덕에 글로벌 AI 경쟁을 선도하고 있다"며 "이런 진전은 AI 혁신과 이용의 필수 기반인 대규모 인프라 투자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마이크로소프트는 2025 회계연도에 AI 모델들을 훈련하고 세계적으로 AI와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 AI 지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약 8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런 전체 투자의 절반 이상이 미국 내에서 이뤄진다"며 "이는 미국에 대한 우리 헌신과 미국 경제에 대한 우리 믿음을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MS의 2025 회계연도는 지난해 7월부터 오는 6월까지다.
MS는 2024 회계연도에 AI 투자를 포함한 전체 자본 지출 규모를 557억 달러로 보고한 바 있다.
MS는 중국과의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AI 수출을 세계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 정부에 관련 규제 완화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생성형 AI 출현으로 AI 수출에 대한 우선순위가 더 커졌고, 중국 AI 부문의 급속한 발달은 미국과 중국 간 AI 경쟁을 고조시켰다"며 "이런 경쟁은 향후 4년 동안 전 세계 시장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정부가 수출 통제를 통해 보안 데이터센터의 민감한 AI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은 옳지만, 국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중 간 경쟁에서는 보다 먼저 빠르게 움직이는 사람이 승리할 가능성이 크다"며 "따라서 미국은 전 세계에 미국의 AI를 속히 지원하기 위한 똑똑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책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미국 민간 부문이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라며 "강한 규제로 민간 부문 움직임을 늦추는 대신, 미국 기업들이 빠르게 확장할 수 있게 하는 실용적인 수출 통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투데이/김우람 기자 hura@etoday.co.kr]
[관련기사]
☞ KT, MS 출신 AIㆍ클라우드 전문가 영입…파트너십 본격화
☞ “6㎜ 얇기에 AI까지 강화”…‘갤럭시 S25 슬림’ 관전 포인트는?
☞ 가상자산·AI 연초부터 상승세…주간 상승률 상위 10개 섹터 중 5개가 ‘AI’
☞ 비트나인, 스카이월드와이드로 사명 변경…"AI 혁신 기업으로 전환"
☞ 한공회, AI 기반 회계·세무 전문 서비스 ‘ChatCPABeta’ 출시
[주요뉴스]
☞ “6㎜ 얇기에 AI까지 강화”…‘갤럭시 S25 슬림’ 관전 포인트는?
☞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공지능AI 기술 구현을 위한 데이터센터에 연간 800억 달러약 117조7600억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MS는 이날 브래드 스미스 부회장 명의로 자사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오늘날 미국은 민간 자본의 투자와 미국 기업들의 혁신 덕에 글로벌 AI 경쟁을 선도하고 있다"며 "이런 진전은 AI 혁신과 이용의 필수 기반인 대규모 인프라 투자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마이크로소프트는 2025 회계연도에 AI 모델들을 훈련하고 세계적으로 AI와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 AI 지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 약 800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런 전체 투자의 절반 이상이 미국 내에서 이뤄진다"며 "이는 미국에 대한 우리 헌신과 미국 경제에 대한 우리 믿음을 반영한다"고 덧붙였다.
MS의 2025 회계연도는 지난해 7월부터 오는 6월까지다.
MS는 2024 회계연도에 AI 투자를 포함한 전체 자본 지출 규모를 557억 달러로 보고한 바 있다.
MS는 중국과의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AI 수출을 세계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새 정부에 관련 규제 완화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 회사는 "생성형 AI 출현으로 AI 수출에 대한 우선순위가 더 커졌고, 중국 AI 부문의 급속한 발달은 미국과 중국 간 AI 경쟁을 고조시켰다"며 "이런 경쟁은 향후 4년 동안 전 세계 시장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정부가 수출 통제를 통해 보안 데이터센터의 민감한 AI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은 옳지만, 국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한 미중 간 경쟁에서는 보다 먼저 빠르게 움직이는 사람이 승리할 가능성이 크다"며 "따라서 미국은 전 세계에 미국의 AI를 속히 지원하기 위한 똑똑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책의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미국 민간 부문이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라며 "강한 규제로 민간 부문 움직임을 늦추는 대신, 미국 기업들이 빠르게 확장할 수 있게 하는 실용적인 수출 통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투데이/김우람 기자 hura@etoday.co.kr]
[관련기사]
☞ KT, MS 출신 AIㆍ클라우드 전문가 영입…파트너십 본격화
☞ “6㎜ 얇기에 AI까지 강화”…‘갤럭시 S25 슬림’ 관전 포인트는?
☞ 가상자산·AI 연초부터 상승세…주간 상승률 상위 10개 섹터 중 5개가 ‘AI’
☞ 비트나인, 스카이월드와이드로 사명 변경…"AI 혁신 기업으로 전환"
☞ 한공회, AI 기반 회계·세무 전문 서비스 ‘ChatCPABeta’ 출시
[주요뉴스]
☞ “6㎜ 얇기에 AI까지 강화”…‘갤럭시 S25 슬림’ 관전 포인트는?
☞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한울원전 4호기, 계획예방정비 마치고 발전 재개 25.01.04
- 다음글국내 기름값 12주째 상승…강달러 영향 25.01.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