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분기 韓 대미흑자 역대 최대…트럼프 재집권시 관세폭탄 우려
페이지 정보
본문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우리나라가 1~3분기1~9월 미국와의 무역에서 400억달러에 육박하는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기록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시 우리나라가 주요 무역 압박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적극적 대미 소통이 중요해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무역 적자 해소를 대외 경제 정책의 핵심 과제로 내세우면서 관세를 무기 삼아 세계 무역 판도를 바꾸겠다고 천명하고 있다.
20일 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 시스템인 K-stat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국의 전체 무역수지는 368억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국가별로는 한국은 미국과 무역에서 399억달러로 가장 큰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이 기간 한국의 전체 흑자보다 많다. 이어 홍콩253억달러, 베트남219억달러, 인도94억달러, 폴란드60억달러 등이 한국의 주요 무역 흑자 대상국이다. 2020년까지 미국은 홍콩, 베트남, 중국에 이어 한국의 네 번째 무역수지 흑자국이었다.
그러다가 2021년 미국의 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중 전략 경쟁 심화, 급속한 세계 공급망 재편, 미국 내 첨단산업 투자 급증,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등으로 한국의 대미 수출이 빠르게 늘어났고, 대미 흑자 규모도 커졌다.
2020년 166억달러 수준이던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2021년 227억달러, 2022년 280억달러에 이어 지난해 역대 최대인 444억달러를 찍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올해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작년 기록을 경신할 가능성이 크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 확대는 수입은 정체된 상황에서 한국의 대미 수출이 빠르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올해 1∼9월 한국의 대미 수출은 951억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4.0% 증가했다. 증가율은 이 기간 한국의 전체 수출 증가율 9.6%를 크게 웃돈다.
품목을 보면 양대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19.6%↑, 반도체147.5%↑ 외에도 컴퓨터SSD 포함·170.1%↑, 기타기계류117.7%↑, 합성수지32.3%↑, 비누·치약·화장품61.9%↑ 등 첨단 제품부터 소비재까지 다양하다.
반대로 미국 입장에서 한국은 주요 무역 적자국이다. 미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21년까지 미국의 14위 무역수지 적자국이었지만, 이후 꾸준히 순위가 올라 올해 1∼8월 기준으로는 중국, 멕시코,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대만, 일본에 이어 8위까지 올라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집권 시 중국산에는 6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나머지 국가에서 수입되는 상품에도 10∼20%의 보편관세를 매기겠다는 구상을 여러 차례 밝혔다.
그는 지난 15일 시카고 연설에서는 "관세는 사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고 언급했는데, 통상 이슈를 바라보는 그의 인식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부터 자국의 무역 적자 해소를 핵심 정책 목표로 삼아왔다는 점에서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등 동맹 여부를 가지지 않고 무역 적자가 큰 국가를 표적 삼아 압박 강도를 높여나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존재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한다면 이를 우회해 한국에도 보편관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 "FTA는 법률에 준하는 외국과의 조약이라서 의회를 거치지 않고 행정명령으로만 수정하긴 어렵다"면서도 "트럼프 집권 1기에 수십 년 된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철강 수입 제한을 한 것처럼 다른 방안을 동원할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고 내다봤다.
장 실장은 트럼프 재집권 시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 부문에서 우선 미국의 압박이 시작될 가능성에 주목했다.
나아가 트럼프 2기가 현실화할 경우 미국 정부가 한미 FTA 개정이나 재협상 요구를 하고 나설 가능성도 일각에서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한미 FTA는 미국이 주요 산업국과 드물게 체결한 양자 FTA로, 현재 한국의 대미 수출 적용 관세율은 0.03% 수준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실제로 집권 1기 시절 미국의 무역 적자를 키운다는 이유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에 나선 사례가 있다. NAFTA는 결국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으로 대체됐다.
나아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선거전에서 USMCA가 중국의 미국 우회 침투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면서 취임과 동시에 재협상 조항을 발동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국의 주한미군 주둔 비용을 연간 100억달러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공언하는 등 재집권 시 안보·통상 등 다방면에 걸친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분야를 넘어 국익을 극대화할 협상력 제고를 위한 대응 필요해졌다는 정부 안팎의 견해도 있다.
oskymoon@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두유’ 마셨을 뿐인데…‘이 암’ 발병 위험 37%나 낮춘다!
▶ 아이폰 띄우기 “선 넘었다”…삼성 ‘부글’, 하이브와 동맹 사달?
▶ “하루 1대도 안 팔렸다” 완전 망한 줄 알았는데…샤오미 또 나온다
▶ “이건 너무하다 했더니” 쏟아지는 뭇매…연예인 ‘술방’ 어쩌나
▶ “난 귀엽고 섹시” 돌연 ‘훌러덩’한 女후보에 난리…日편집 못한 이유봤더니
▶ 트리플스타, 백종원 무시 논란…알고보니 악마의 편집?
▶ “가해자 모른다” 제시 부인에도…‘팬 폭행’ 연루, 코알라와 투샷 ‘눈길’
▶ "우산도 혼자 못 쓰나" 문다혜 경찰 출석 우산 의전 논란…3년 전 文의 쓴소리도 재조명
▶ 최동석, 이제 혼자다 하차…“개인사로 염려끼쳐 죄송”
▶ 건강 악화 이순재, 결국 연극 하차…"3개월 휴식 필요"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전국 15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비중 5년來 최대…서울에 83% 몰려 24.10.20
- 다음글[단독] 19억 첫집 떠난 한소희…아치울 52억 펜트 주인됐다 [부동산360] 24.10.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