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계엄 한파 반영 안 됐는데…실업급여 받은 자영업자 8.6% 늘...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신문]매출 감소 등으로 폐업하고 실업급여를 받은 자영업자가 지난해 11월까지 33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12·3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경기 침체 여파를 고려하면 지난해 실업급여를 받은 자영업자의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비자발적 폐업으로 실업급여를 받은 자영업자는 3319명중복 제외이다. 전년 같은 기간 3057명보다 8.6% 늘었으며, 2023년 전체3248명를 이미 뛰어넘었다.
수급액도 늘었다. 지난해 11월까지 폐업 자영업자들에게 지급된 실업급여는 175억 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155억 5600만원보다 12.9% 늘었다. 수급액도 2023년 전체167억 6800만원를 앞질렀다. 12월 실업급여 지급 현황을 아직 집계하지 않았는데도 지급액과 수급자 모두 전년도 연간 규모보다 많아진 건 그만큼 자영업자의 고통이 커졌다는 의미다. 자영업자가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사업체 50인 미만’, ‘고용보험 1년 이상 가입’, ‘6개월 연속 매출 감소’ 등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계엄 한파’의 직격탄을 맞은 지난해 12월까지 집계되면 자영업자 실업급여 수급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직전 달100.7에 비해 12.3포인트 떨어졌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며 폐업하는 자영업자들이 늘었을 가능성이 크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폐업 비용 지원, 재취업 교육 등을 강화해 자영업자의 재기를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23년 사업을 접고 폐업 신고한 전체 개인·법인 사업자는 98만 60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증가 폭도 11만 9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에도 고물가·고금리 등 경제 불안이 이어지면서 폐업 자영업자가 100만명을 넘겼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세종 유승혁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비키니 임세령, 이정재가 ‘찰칵’…美 매체發 11년 로맨스
☞ 31년 전 ‘그알’이 소환한 20대 오은영 박사의 미모 ‘깜짝’
☞ 새 가족 소식 전한 진태현♥박시은 “두 딸 생겼어요”
☞ 현빈♥손예진 “건강한 아들 볼 때마다 죄책감” 고백
☞ 정형돈 맞아? ‘21kg’ 빼고 몰라보게 확 달라진 모습
☞ ‘80만 헬스 유튜버’ 박승현 34세로 사망… “건강상 이유”
☞ 황동혁 감독, 박성훈이 올린 ‘오겜’ 패러디 성인물 “불쾌”
☞ “비상계엄 끝나 좀 아쉬워”…최준용, 尹 지지 발언 논란
☞ 정석용 “19세 연하와 연애…나이 차이 못 느끼겠더라”
☞ “내가 낚은 게 20억?”…276㎏짜리 ‘행운 물고기’ 정체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6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비자발적 폐업으로 실업급여를 받은 자영업자는 3319명중복 제외이다. 전년 같은 기간 3057명보다 8.6% 늘었으며, 2023년 전체3248명를 이미 뛰어넘었다.
수급액도 늘었다. 지난해 11월까지 폐업 자영업자들에게 지급된 실업급여는 175억 7000만원으로 전년 동기155억 5600만원보다 12.9% 늘었다. 수급액도 2023년 전체167억 6800만원를 앞질렀다. 12월 실업급여 지급 현황을 아직 집계하지 않았는데도 지급액과 수급자 모두 전년도 연간 규모보다 많아진 건 그만큼 자영업자의 고통이 커졌다는 의미다. 자영업자가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사업체 50인 미만’, ‘고용보험 1년 이상 가입’, ‘6개월 연속 매출 감소’ 등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계엄 한파’의 직격탄을 맞은 지난해 12월까지 집계되면 자영업자 실업급여 수급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직전 달100.7에 비해 12.3포인트 떨어졌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며 폐업하는 자영업자들이 늘었을 가능성이 크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폐업 비용 지원, 재취업 교육 등을 강화해 자영업자의 재기를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23년 사업을 접고 폐업 신고한 전체 개인·법인 사업자는 98만 6000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증가 폭도 11만 9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에도 고물가·고금리 등 경제 불안이 이어지면서 폐업 자영업자가 100만명을 넘겼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세종 유승혁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비키니 임세령, 이정재가 ‘찰칵’…美 매체發 11년 로맨스
☞ 31년 전 ‘그알’이 소환한 20대 오은영 박사의 미모 ‘깜짝’
☞ 새 가족 소식 전한 진태현♥박시은 “두 딸 생겼어요”
☞ 현빈♥손예진 “건강한 아들 볼 때마다 죄책감” 고백
☞ 정형돈 맞아? ‘21kg’ 빼고 몰라보게 확 달라진 모습
☞ ‘80만 헬스 유튜버’ 박승현 34세로 사망… “건강상 이유”
☞ 황동혁 감독, 박성훈이 올린 ‘오겜’ 패러디 성인물 “불쾌”
☞ “비상계엄 끝나 좀 아쉬워”…최준용, 尹 지지 발언 논란
☞ 정석용 “19세 연하와 연애…나이 차이 못 느끼겠더라”
☞ “내가 낚은 게 20억?”…276㎏짜리 ‘행운 물고기’ 정체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관련링크
- 이전글신한운용, SOL 전고체배터리실리콘음극재 ETF 신규상장 25.01.07
- 다음글39도 고열에 몸살기 A형 독감 기승…병원마다 문전성시 25.01.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