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리포트]③LCC의 위험한 과로…조종사와 정비사는 언제 쉬나요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S리포트]③LCC의 위험한 과로…조종사와 정비사는 언제 쉬나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5-01-07 05:37

본문

[좁은 땅에 난립한 LCC]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서둘러야

[편집자주]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를 향한 불안감이 감돈다. 경제 논리보다 정치 논리로 지방공항이 설치됐고, 공항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지역 거점 항공사가 필요하단 논리에 최소 요건만 갖춘 LCC가 난립했다. 코로나19로 각국 하늘길이 막히기 전까지는 밀려드는 관광객 덕분에 그나마 설득력이 있었다. 하지만 봉쇄 이후엔 필수업종의 위기를 막기 위해 국민의 혈세를 쏟아부었고, 현재는 생존 기로를 마주하며 무리한 날갯짓을 이어가는 잠재적 골칫덩이로 전락했다.

[S리포트]③LCC의 위험한 과로…조종사와 정비사는 언제 쉬나요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를 계기로 저비용항공사LCC의 조종사와 정비사 인력 부족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조종사와 정비사들의 업무 과중과 피로 누적이 항공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LCC의 전반적인 안전 체계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7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2024년 기준 국제선 여객기 운항 편수가 4만7026편으로 국내 LCC 가운데 가장 많았다. 제주항공의 운항 편수는 대형항공사FSC인 아시아나항공4만7781과 비슷했는데 조종사 수는 670명으로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수1357명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조종사 수 대비 비행 스케줄 너무 많아


국내 주요 항공사 6곳의 조종사 한 명당 평균 국제선 운항 편수를 살펴본 결과, LCC의 조종사들은 업무 과부하에 시달리고 있었다. 2024년 기준 LCC의 조종사 한 명당 국제선 운항 편수는 ▲제주항공 70.19편 ▲티웨이항공 46.20편 ▲진에어 57.23편 ▲에어부산 78.21편으로, 대한항공23.03편-2023년 기준 수치과 아시아나항공29.01편보다 월등히 높았다. 제주항공의 운항 편수는 대한항공의 세 배를 웃돌았는데 FSC가 주로 장거리 노선을 운항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격차가 과도했다.

현행법상 항공운송사업자의 피로 관리는 근무 시간 제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항공안전법에 따르면 국내 항공기 조종사의 비행 시간은 연간 1000시간 이내, 30일 연속으로는 100시간 이내로 제한돼 있다. 운항 편수에 비해 조종사 수가 부족해 법의 범위 내에서 무리하게 스케줄을 조정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LCC는 단거리 노선 중심으로 취항해 이·착륙이 잦은 데다 소형기종 위주여서 조종사와 승무원의 피로가 누적되기 쉽다"며 "1년에 1000시간을 꽉 채워 근무하는데 근무 시간에 맞춰 운항하더라도 야간비행, 시차까지 고려하면 피로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권고한 피로위험관리시스템FRMS을 도입해 승무원의 피로를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피로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항공안전법 제56조승무원 피로관리에 FRMS 운용에 대한 근거가 포함돼 있으나 실제 시스템 구축과 시행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LCC 정비사 FSC 대비 연간 최대 4배의 여객기 점검


수차례 지적된 LCC 정비 인력 부족 문제도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2016년 국토교통부는 기내 압력 조절 실패와 출입문 고장으로 인한 회항 등 LCC에서 안전 사고가 잇따르자 저비용항공사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정부가 가장 먼저 요구한 것은 항공기 1대당 정비사 12명당시 9~11명의 적정 정비 인력을 갖추라는 것이었다.

2023년 말 기준2024년도 수치는 국토교통부가 공개 하기 전에는 대외비여서 2023년이 가장 최신 수치임 적정 정비 인력을 확보한 국내 LCC는 한 곳도 없다. 국내 주요 LCC의 항공기 한 대당 정비 인력은 ▲제주항공 11.2명42대 ▲티웨이항공 11.5명30대 ▲진에어 10.1명27대 ▲에어부산 8.2명22대으로 조사됐다. 대한항공 16.5명161대과 아시아나항공 16.1명81대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대형기를 주로 운항하는 FSC의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격차가 크다는 지적이다.

운항 편수에 비해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LCC 정비사들은 고강도 노동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LCC 정비사 한 명이 일 년 동안 정비한 국제선 여객기 수는 ▲제주항공 96.1기 ▲티웨이항공 86.5기 ▲진에어 92.4기 ▲에어부산 108.1기다. 정비사 1명이 한 해 30기 수준을 맡는 FSC▲대한항공 25.5기 ▲아시아나항공 31.6기와 비교하면 최대 4배에 달한다.

국토부는 정비 인력 확충과 근무 환경 개선을 촉구하고 있지만 항공사들의 현실적인 인력 충원 속도는 더디다. LCC들은 수익성 강화를 이유로 비용 절감을 최우선시 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국내 LCC들이 최근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노선 다변화와 중·장거리 노선 확대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조종사와 정비사의 업무 과중은 심화할 가능성도 크다.

권보헌 극동대 항공안전관리학과 교수는 "코로나 19 당시 경력직 조종사와 정비사의 인력이 많이 감축됐고 여행 수요 증가로 조종사와 정비사의 업무 과중이 더 심화했다"며 "항공 인력은 전문직이다 보니 양성을 해야 하는데 시간이 걸려 정부 차원의 항공 조종·정비사 양성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머니S 주요뉴스]
"유가족 위해 써달라"… 가슴 따뜻한 이동욱, 5000만원 기부
"송구한 마음"… 한석규, 대상 수상… 제주항공 참사 애도
박민영, 우아한 드레스 자태 공개… 남다른 꽃미모
"200명을 어떻게 뚫나"… 공수처, 인력 한계 인정
"핑크빛 원해"… 전현무,♥홍주연과 열애설 언급
[여행픽] "겨울엔 온천여행이죠"… 국내 명소 어디
"피파 랭킹 50위 올렸는데?"… 신태용 아들 아버지 경질에 분노
김혜성 다저스행… ML 사관학교 키움, 29억원 확보… 누적 수익은?
[특징주] 모니터랩, MS AI 데이터센터 연 117조 투자… MS 보안 파트너사 강세
LA 내야 이미 꽉찼다?… 김혜성, 주전 경쟁 상대는 누구
[특징주] 대한뉴팜, 미·중 호흡기질환 확산… HMPV 유일 치료제 리바비린 생산에 강세


김성아 기자 tjddk99@mt.co.kr

ⓒ 머니S amp;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84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67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