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폭등에도 외환보유액 증가 왜?[뉴스 분석]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신문]12·3 비상계엄 후폭풍으로 지난해 12월 원달러 환율이 장중 한때 1486.70원까지 상승했지만 외환보유액은 줄지 않았다. 외환당국이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 조정으로 고환율에 대응하고, 금융기관의 연말 외화예수금이 늘어난 것이 외환보유액 감소를 막았다.
한국은행은 6일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4156억 달러약 611조 100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월 4153억 9000만 달러610조 8000억원에서 2억 1000만 달러3000억원 증가하며 세계 9위 수준을 유지했다.
당초 외환당국이 치솟은 환율에 대응하느라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거란 전망이 많았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유로·엔 등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줄어드는 데다 환율 상승 방어를 위해 달러를 시중에 풀어야 해 외환보유액 감소는 기정사실로 인식됐다.
외환보유액을 지킬 수 있었던 건 한은과 기획재정부가 ‘적극 개입’을 자제하고 구두 개입 등으로 변동성을 미세 조정했기 때문이다.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분기 말 효과’가 외환보유액 감소를 막는 데 결정적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늘고 한은의 외환보유액 운용 수익이 더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외환당국의 달러 매도 시장 개입보다 미국 증시 활황에 일부 해외 주식과 채권을 판 수익과 함께 외국환 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을 맞추기 위해 예수금을 높여 건전성을 개선하는 분기 말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며 외환보유고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2019년 4088억 2000만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1월에 ‘분기 말 효과’가 사라지고 1500원대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면 외환보유액이 급감할 수도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원 오른 1469.7원에 마감됐다.
세종 이영준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비키니 임세령, 이정재가 ‘찰칵’…美 매체發 11년 로맨스
☞ 31년 전 ‘그알’이 소환한 20대 오은영 박사의 미모 ‘깜짝’
☞ 새 가족 소식 전한 진태현♥박시은 “두 딸 생겼어요”
☞ 현빈♥손예진 “건강한 아들 볼 때마다 죄책감” 고백
☞ 정형돈 맞아? ‘21kg’ 빼고 몰라보게 확 달라진 모습
☞ ‘80만 헬스 유튜버’ 박승현 34세로 사망… “건강상 이유”
☞ 황동혁 감독, 박성훈이 올린 ‘오겜’ 패러디 성인물 “불쾌”
☞ “비상계엄 끝나 좀 아쉬워”…최준용, 尹 지지 발언 논란
☞ 정석용 “19세 연하와 연애…나이 차이 못 느끼겠더라”
☞ “내가 낚은 게 20억?”…276㎏짜리 ‘행운 물고기’ 정체
[ 관련기사 ]
☞ 대출금리 뛰고 이자 부담 가중… 중소기업, 3조 이상 못 갚았다
☞ 카드사 9곳 중 6곳 새 CEO ‘진두지휘’… 내수 부진·대출 제한 압박 파고 넘는다
☞ 기준금리 내렸는데… 주담대 금리는 요지부동
☞ 새마을금고 회원도 임원 해임 청구권 신설… ‘뱅크런’ 사태 재발 막는다
☞ ‘주7일 배송’ 날개 단 이커머스… 쿠팡 “나 떨고 있니?”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한국은행은 6일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4156억 달러약 611조 100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월 4153억 9000만 달러610조 8000억원에서 2억 1000만 달러3000억원 증가하며 세계 9위 수준을 유지했다.
당초 외환당국이 치솟은 환율에 대응하느라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거란 전망이 많았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유로·엔 등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줄어드는 데다 환율 상승 방어를 위해 달러를 시중에 풀어야 해 외환보유액 감소는 기정사실로 인식됐다.
외환보유액을 지킬 수 있었던 건 한은과 기획재정부가 ‘적극 개입’을 자제하고 구두 개입 등으로 변동성을 미세 조정했기 때문이다.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분기 말 효과’가 외환보유액 감소를 막는 데 결정적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이 늘고 한은의 외환보유액 운용 수익이 더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외환당국의 달러 매도 시장 개입보다 미국 증시 활황에 일부 해외 주식과 채권을 판 수익과 함께 외국환 은행들이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을 맞추기 위해 예수금을 높여 건전성을 개선하는 분기 말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며 외환보유고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2019년 4088억 2000만 달러 이후 5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1월에 ‘분기 말 효과’가 사라지고 1500원대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면 외환보유액이 급감할 수도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원 오른 1469.7원에 마감됐다.
세종 이영준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비키니 임세령, 이정재가 ‘찰칵’…美 매체發 11년 로맨스
☞ 31년 전 ‘그알’이 소환한 20대 오은영 박사의 미모 ‘깜짝’
☞ 새 가족 소식 전한 진태현♥박시은 “두 딸 생겼어요”
☞ 현빈♥손예진 “건강한 아들 볼 때마다 죄책감” 고백
☞ 정형돈 맞아? ‘21kg’ 빼고 몰라보게 확 달라진 모습
☞ ‘80만 헬스 유튜버’ 박승현 34세로 사망… “건강상 이유”
☞ 황동혁 감독, 박성훈이 올린 ‘오겜’ 패러디 성인물 “불쾌”
☞ “비상계엄 끝나 좀 아쉬워”…최준용, 尹 지지 발언 논란
☞ 정석용 “19세 연하와 연애…나이 차이 못 느끼겠더라”
☞ “내가 낚은 게 20억?”…276㎏짜리 ‘행운 물고기’ 정체
[ 관련기사 ]
☞ 대출금리 뛰고 이자 부담 가중… 중소기업, 3조 이상 못 갚았다
☞ 카드사 9곳 중 6곳 새 CEO ‘진두지휘’… 내수 부진·대출 제한 압박 파고 넘는다
☞ 기준금리 내렸는데… 주담대 금리는 요지부동
☞ 새마을금고 회원도 임원 해임 청구권 신설… ‘뱅크런’ 사태 재발 막는다
☞ ‘주7일 배송’ 날개 단 이커머스… 쿠팡 “나 떨고 있니?”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전 국민 노후가 달려있는데"…투자기업에 목소리 키우는 국민연금 25.01.06
- 다음글[CES2025]차량 속으로 들어온 인공지능 25.01.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