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정치테마주 풍문 유포…차익챙긴 투자자 검찰 통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1-08 20:35 조회 22 댓글 0본문
15종목 사전 매집...주가 오르자 처분

금융당국이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 관련 풍문을 유포해 차익을 챙긴 전업 투자자를 수사기관에 통보했다.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8일 제1차 정례회의에서 주식 관련 인터넷 사이트에서 15개 종목을 정치테마주로 부각해 풍문을 유포하고 주가 상승 시 선매수한 주식을 매도한 전업투자자 A씨를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 행위 금지 위반으로 검찰에 ‘수사기관 통보’ 조치했다고 밝혔다.
A씨는 작년 4월 총선을 앞두고 B사 등 15개 종목을 사전 매집한 뒤 주식 관련 사이트 게시판에 “사외이사가 ○○○과 페이스북 친구네요”, “○○○ 용산 출마설? 본사가 용산인 회사” 등 이들 종목에 대해 인맥, 지역 등 유사성만으로 정치인 테마주로 부각하는 글을 지속해서 게시했다.
이후 주가가 상승하자 사전 매집한 주식을 전량 처분해 차익을 실현하고 매도한 직후에는 관련 글을 삭제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정치테마주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특별 단속반을 운영하는 등 시장을 집중 감시하고 있다. 불공정거래 혐의 발견 시 신속 조사해 엄중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증선위는 이를 포함해 이날 정례회의에서 검찰 고발·통보 3건, 과징금 7건, 증권 발행 제한 1건 등의 제재 조치를 의결했다.
C사 지분율을 6.88% 보유한 D사는 2021년 12월 C사가 신규로 상장함에 따라 대량보유신규 보고 의무가 발생했지만 보고 기한이 지나 지연보고해 과징금이 부과됐다.
E사F사 지분율을 최대 19.79% 보유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6월까지 F사가 발행한 전환사채CB를 취득·처분함에 따라 대량보유변동 보고의무가 발생했으나 이를 지연 보고해 과징금이 부과됐다.
이와 함께 증선위는 작년 총 113건개인 240명·법인 144개사의 불공정거래 공시 위반 및 공매도 규제 위반 조사결과를 조치했다고 밝혔다.
위반 유형별로는 부정거래 20건, 시세조종 5건, 미공개중요정보 이용 21건, 시장질서교란행위 2건, 공시·보고의무 위반 46건, 공매도 규제 위반이 19건 등이다. 조치 유형별로는 검찰 고발·통보 51건194명, 32개사, 과징금 49건37명, 65개사, 과태료 9건8명, 34개사, 증권발행제한 등 4건1명, 13개사 등이었다.
데일리안 백서원 기자 sw100@dailian.co.kr
- Copyrights ⓒ 주데일리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단독] 원희룡 "이재명 막기 위해 뭉쳐야"…전당대회 후 첫 공개행보
☞與 "尹체포 재시도 용납 못해"…민주~국수본 내통 의혹으로 반격
☞민주당, 역풍 우려에 최상목 탄핵 장고…가능성은 여전
☞헌재 "검사 탄핵소추 사유 모호해…각하 사유 될 수도"
☞자충수 된 내란죄 철회…이재명 방탄용 비판 물결 쇄도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