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공항보다 3배 많았던 무안공항 관제량…야간운항 제한 시도도 무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1-05 13:02 조회 23 댓글 0본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무안국제공항의 관제량이 다른 중소공항보다 3배 가까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관제사의 피로 누적을 우려한 부산지방항공청이 2017년 ‘야간운항 제한 조치’ 취하려 했지만, 지역 사회의 반발로 무산된 사실도 확인됐다.

30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유류품 수색 작업 등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근무하는 관제사 수는 다른 공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무안 관제탑은 모두 7명의 관제사가 2∼3명씩 교대로 일했는데 양양 관제탑의 관제사 수도 7명이었다. 여수와 울산 관제탑의 관제사는 각 4명이었다.
━
교체공항 지정에 훈련기까지 더해져 관제량 급증
설립 직후인 2008년 연간 6295대하루 18대에 불과했던 무한공항의 관제량은 이후 4000∼7000대 수준을 유지하다 제주공항이 활주로 공사를 시작한 2014년 2만5310대하루 69.3대로 늘었다. 무안공항이 제주공항을 대체할 교체 공항으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교체 공항은 목적지 공항이 기상 악화 등으로 정상적인 착륙이 어려울 때에 대비해 목적지 주변에 착륙을 위해 정해두는 공항을 말한다.
이후 항공 훈련기 관제까지 더해지면서 무안공항의 관제량은 2015년 4만9401대하루 135대, 2016년 6만6413대하루 181대, 2017년 6만3855대175대로 급증했다.
관제량이 크게 늘자 부산지방항공청은 2017년 관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를 거론하며 2018년부터 오후 9시에서 다음 날 오전 7시 사이의 무안공항 야간운항을 제한하려 했지만, 전남도 등 지역사회 반발로 백지화됐다. 24시간 운항체제가 유지되지 않으면 부정기 국제노선 유지나 확충이 어려워 공항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였다.
국토부도 “무안공항 교통량 증가에 따라 관제 인력을 추가 충원, 24시간 운항에 문제가 없도록 조치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당시 6명이었던 관제사 수는 1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관제탑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한 항공업계 전문가는 “관제사는 조종사 못지않게 항공 안전에 중요한 인물”이라며 “과도한 업무 강도는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나 죽기 싫다"는 노모…존엄사 사인의 진실
▶ "동체 10배 규모 새떼" 사고 직전 CCTV 찍혔다
▶ 절친과 딴살림 차린 아내…"억만 개 모욕" 분노의 시
▶ 섹시댄스로 난리나더니…中 체조여신 깜짝 근황
▶ "사위가 효도관광"…몸 아픈 장인 홀로 남아 절규
▶ 툭하면 짜증…사춘기인 줄 알았는데 부모 충격
▶ 산타가 사람 죽였다…러 성탄절 앞두고 잔혹 범죄
▶ 동성연인과 약혼 女배우? 커플 반지 끼고 올린 사진
▶ "온가족 매달려 월 400만원" 애달픈 편의점 블루스
▶ "국민 앞 숨지 않겠다"…칩거 尹 과거 발언 재조명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원석 jang.wonseok@joongang.co.kr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