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받는 92만명, 월 2만원씩 가족연금까지 받는다? [신성식의 레츠 ...
페이지 정보

본문

2일 서울 종로구 한 노인이 거리를 걷고 있다. 기초연금을 받는 92만명이 국민연금의 부양가족연금을 함께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
■
부양가족연금 폐지론 대두
연금수급자 가족복지 기여
다른 혜택 생겨 상황 변화
"기초·가족 중복 먼저 폐지"
지난 37년 동안 나름대로 기여했지만, 2010년 이후 다른 복지가 많이 생겼고 연금 수급자가 늘었으니 이제는 부양가족연금이하 가족연금을 줄이자는 제안이 나왔다. 성혜영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달 5일 한국연금학회 주최 학술대회에서 가족연금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앞서 정부도 개선 방침을 밝혔다. 정부는 2023년 10월 국회에 제출한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에서 "인구와 사회 변화를 고려하여 가족연금의 효과를 점검하고, 합리적인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종합운영계획은 주변 여건 변화를 고려해 5년마다 제도를 개선하는 작업이다.
━
연금 수급자 36%가 받는 가족연금
가족연금은 연금 수급자의 36%가 받는다. 88년 연간 6만원에서 출발했고, 올해 배우자는 연 30만330원월 2만5020원, 부모·자녀는 연 20만160원월 1만6680원이다. 매년 물가 상승만큼 올리지만 그리 많지 않다. 수급자는 배우자·고령자·여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열 중 아홉이 배우자이다. 여성 비율도 비슷하다. 열 중 여덟이 60세 이상이다. 고령의 여성 배우자 복지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인 가구가 급증하고 국민연금이 성숙하면서 가족연금의 필요성이 떨어졌다. 2008년 연금 수급자 10명 중 여성이 3.9명이었고, 지난해 9월 4.7명으로 늘었다. 국민연금을 받게 되면 가족연금이 사라진다. 또 2010년 이후 복지가 급성장했다. 덩치 큰 것만 열거하자면 기초연금·노인 일자리, 노인 진료비 할인, 아동수당·가정양육수당·부모급여·자녀장려금 등이 있다.

김영희 디자이너
━
월 437만원 벌어도 기초연금 받아
기초연금만 따져보자. 성혜영 박사 자료에 따르면 배우자 가족연금 수급자 중 기초연금을 받는 사람이 84만2271명지난해 6월 기준이다. 부모는 8만5596명, 자녀는 81명이다. 배우자 가족연금이 기초연금 최고액34만2510원의 7.3%, 부모는 4.9%에 불과하다. 기초연금은 설계가 허술하다. 노인의 소득 하위 70%가 기준이다. 기초 수급자 생계급여기준중위소득의 32% 이하처럼 분명하지 않다. 70%는 그대로 있지만 인원이 증가하니까 매년 선정 기준이 달라진다. 특히 소득·재산이 상대적으로 많은 베이비부머1955~63년생가 노인이 되면서 선정 기준이 가파르게 오른다.
올해 독거노인의 기초연금 선정 기준은 월 228만원이다. 이는 최저임금112만원 공제, 근로소득 30% 추가 공제 후 기준액이다. 이를 고려하면 독거노인의 경우 상시 근로소득이 월 437만원다른 소득과 재산이 없다고 가정 이하, 맞벌이 부부는 월 745만원연 8940만원 이하이면 기초연금을 받는다. 월 30만원 안팎의 기초연금을 받는데 2만원 안팎의 가족연금을 유지하는 게 맞을까.
━
2023년 가족연금 6699억원 들어
가족연금은 손이 많이 간다행정 비용. 이걸 받던 배우자가 숨지거나 이혼사실혼 파기하거나 국민연금 수급자가 될 경우 골라내서 제외한다. 19세 미만 자녀가 받다가 19세가 돼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연금 수급권자에 의해 생계를 유지할 때만 지급한다는 규정에 따라 가출·실종자를 가려내야 한다. 결혼 전 배우자의 자녀가 있다면 주민등록이 같은지 확인해야 한다.
━
"가족연금 줄여 연급수급권 확보에 쓰자"
효과는 생각보다 작은 데도 가족연금 지출에 2023년 6699억원행정 비용 제외 들어갔다. 성혜영 박사는 "가족연금 대상에서 배우자와 부모를 점차 줄여가되 기초연금 동시 수급자부터 제외하자"고 제안한다. 중장기적으로 신규 국민연금 수급자유족·장애연금은 제외의 부모 가족연금을 점진적으로 없애고, 65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 증가 추세를 고려해 배우자 가족연금은 일정 시점에 없애자고 한다. 자녀장려금이 적은 점을 고려해 자녀 가족연금은 유지한다. 일본·영국도 가족연금을 없애나가는 중이다. 성 박사는 절감한 재정으로 임의가입전업주부 가입 등 활성화, 연금 크레디트출산·군 복무를 가입기간으로 인정 확대, 저소득 가입자 보험료 지원 등에 써서 연금 수급권 확보를 돕자고 제안한다.
━
"저소득층 고려해 신중한 접근" 지적도
신중하게 접근하자는 목소리도 있다. 송창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저소득층에게 월 2만~3만원은 작은 게 아니다. 가족연금이 사라졌을 때 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같이 봐야 한다"며 "기초 수급자가 기초연금을 못 받는 점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은 "중장기적으로 1인 1연금국민연금으로 가게 될 터이니 가족연금 폐지 방향에는 동의한다"며 "그러나 연금개혁이라는 큰 과제를 앞둔 시점에 가족연금을 줄이게 되면 또 깎으려 하느냐는 반발을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오 위원장은 "가족연금 액수가 크지 않아 오히려 연금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흔들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게 생계에 보탬이 되는 저소득층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ssshin@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테슬라 수익률 넘었다…트럼프 수혜주 韓기업
▶ 고현정 병실 사진 "놀랄만큼 아파, 큰 수술 마쳐"
▶ "판검사요? 제가 왜요?"…SKY 로스쿨생 몰리는 곳
▶ 케이크 먹은 일가족 3명 사망…며느리 체포, 무슨일
▶ 관저 몰려간 與의원 44명, 尹 식사 제안 거절 왜
▶ "시위자 다 총 쏴 죽이고 싶다" 한남동 국밥집 뭔일
▶ 팝콘배우 낙인 끝…"충격" 63세 데미 무어의 경사
▶ 백종원, 아나운서 영입 왜…"주주 피해 보는 꼴 못 봐"
▶ "동체 10배 규모 새떼" 사고 직전 CCTV 찍혔다
▶ 인니, 신태용 경질…"얼마나 가나 보자" 아들 분노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성식 ssshin@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13월의 보너스, 한푼이라도 더 받으려면"…연말정산 조목조목 꿀팁 25.01.08
- 다음글테일러메이드 신제품 Qi35 드라이버 론칭 행사 25.01.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