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앞두고 배추 59%·무 77% 올라
페이지 정보

본문

이번주 물가관리 대책 정부, 올해 설 성수기 역대 최대 성수품 공급·할인행사
이달 말 설을 앞두고 일부 농산물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설 성수품 중 배추와 무 소매가격은 1년 전의 1.5배에서 두 배 수준으로 올랐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물가 관리 대책을 발표하는 한편 설 성수기에 성수품 공급과 할인 행사를 역대 최대 수준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3일 기준 한 포기에 5027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58.9%, 33.9% 올랐다. 평년 가격은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무는 한 개에 3206원으로 1년 전보다 77.4% 비싸고 평년보다 52.7% 올랐다. 배추와 무 가격 상승은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여름철 폭염에다 추석 이후까지 늦더위가 이어지면서 농산물 생육이 부진했다.
겨울 무 주산지인 제주에 비가 자주 내린 것도 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더해 지난해 김장철 가격 안정을 위해 배추와 무 조기 출하가 이뤄진 것도 최근 가격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정부는 배추 가격 안정을 위해 가용 물량을 최대한 시장에 방출하고, 수매를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상황이 더 악화할 경우에 대비해 배추 수입도 고민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여름 배추 공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하자 중국에서 신선 배추를 수입하기도 했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도 강세다. 배신고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4만1955원으로 1년 전보다 24.6% 비싸고 평년보다 23.5% 높다. 이는 공급량 감소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배 생산량은 전년보다 3% 감소했고, 수확 후 저장 단계에서 고온으로 피해가 발생해 유통 가능 물량은 생산량보다 더 줄었다. 사과후지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2만6257원으로 1년 전보다 10.2% 내렸지만, 평년과 비교하면 3.1% 높다.
또 다른 설 성수품인 양파와 감자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11.7%, 14.6% 내렸고 깐마늘 가격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설 성수품은 아니지만 겨울철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감귤은 10개에 4804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12.3%, 63.3% 올랐다. 감귤은 여름철 폭염으로 열과갈라짐 피해가 컸고,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줄었다. 딸기는 100g에 2542원으로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10.4%, 25.4% 비싸다.
축산물 가격은 농산물보다 안정적이다. 지난 2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 기준 한우 1등급 등심 소매가격은 100g에 9512원으로 1년 전9461원과 비슷하다. 돼지고기 삼겹살 소매가격은 2649원으로 8.5% 올랐다.
닭고기 소매가격은 1㎏에 5403원으로 5.9% 내렸고 계란특란 30개은 6301원으로 8.4% 하락했다. 다만 동절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은 닭고기와 계란값의 변수가 될 수 있다.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산하면 방역을 위한 살처분과 이동 제한으로 인해 닭고기와 계란 가격이 오르게 된다. 고병원성 AI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지금 AI 발생 상황이 축산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며 “앞으로 수급 관리를 빈틈없이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설 성수기를 앞두고 이르면 이번 주 물가 관리 대책을 발표한다. 올해 설 성수기에는 사과와 한우 등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늘리고 할인 행사를 최대 규모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수진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속보]‘결집하는 보수’ 윤통 지지율 34.3%로 반등
▶ 얼굴 전체 문신 20대男…취직이 안 돼 결국
▶ 친윤 신평 “尹 예언자적 점지력…중임 개헌 시 또 대통령”
▶ 조종사들의 다급한 마음… 찢겨진 채 발견된 ‘2000쪽 비행기 매뉴얼’
▶ [속보]공수처, 尹체포영장 집행 재시도 초읽기…최 대행에 협조 공문 발송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이달 말 설을 앞두고 일부 농산물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설 성수품 중 배추와 무 소매가격은 1년 전의 1.5배에서 두 배 수준으로 올랐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물가 관리 대책을 발표하는 한편 설 성수기에 성수품 공급과 할인 행사를 역대 최대 수준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3일 기준 한 포기에 5027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58.9%, 33.9% 올랐다. 평년 가격은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무는 한 개에 3206원으로 1년 전보다 77.4% 비싸고 평년보다 52.7% 올랐다. 배추와 무 가격 상승은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여름철 폭염에다 추석 이후까지 늦더위가 이어지면서 농산물 생육이 부진했다.
겨울 무 주산지인 제주에 비가 자주 내린 것도 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더해 지난해 김장철 가격 안정을 위해 배추와 무 조기 출하가 이뤄진 것도 최근 가격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정부는 배추 가격 안정을 위해 가용 물량을 최대한 시장에 방출하고, 수매를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상황이 더 악화할 경우에 대비해 배추 수입도 고민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여름 배추 공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하자 중국에서 신선 배추를 수입하기도 했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도 강세다. 배신고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4만1955원으로 1년 전보다 24.6% 비싸고 평년보다 23.5% 높다. 이는 공급량 감소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배 생산량은 전년보다 3% 감소했고, 수확 후 저장 단계에서 고온으로 피해가 발생해 유통 가능 물량은 생산량보다 더 줄었다. 사과후지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2만6257원으로 1년 전보다 10.2% 내렸지만, 평년과 비교하면 3.1% 높다.
또 다른 설 성수품인 양파와 감자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11.7%, 14.6% 내렸고 깐마늘 가격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다. 설 성수품은 아니지만 겨울철 소비자가 많이 찾는 감귤은 10개에 4804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12.3%, 63.3% 올랐다. 감귤은 여름철 폭염으로 열과갈라짐 피해가 컸고,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줄었다. 딸기는 100g에 2542원으로 1년 전, 평년보다 각각 10.4%, 25.4% 비싸다.
축산물 가격은 농산물보다 안정적이다. 지난 2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조사 기준 한우 1등급 등심 소매가격은 100g에 9512원으로 1년 전9461원과 비슷하다. 돼지고기 삼겹살 소매가격은 2649원으로 8.5% 올랐다.
닭고기 소매가격은 1㎏에 5403원으로 5.9% 내렸고 계란특란 30개은 6301원으로 8.4% 하락했다. 다만 동절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은 닭고기와 계란값의 변수가 될 수 있다.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산하면 방역을 위한 살처분과 이동 제한으로 인해 닭고기와 계란 가격이 오르게 된다. 고병원성 AI 중앙사고수습본부 관계자는 “지금 AI 발생 상황이 축산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며 “앞으로 수급 관리를 빈틈없이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설 성수기를 앞두고 이르면 이번 주 물가 관리 대책을 발표한다. 올해 설 성수기에는 사과와 한우 등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늘리고 할인 행사를 최대 규모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수진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속보]‘결집하는 보수’ 윤통 지지율 34.3%로 반등
▶ 얼굴 전체 문신 20대男…취직이 안 돼 결국
▶ 친윤 신평 “尹 예언자적 점지력…중임 개헌 시 또 대통령”
▶ 조종사들의 다급한 마음… 찢겨진 채 발견된 ‘2000쪽 비행기 매뉴얼’
▶ [속보]공수처, 尹체포영장 집행 재시도 초읽기…최 대행에 협조 공문 발송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관련링크
- 이전글트럼프 취임 앞두고 3000억원 모금 성공…빅테크 거물들 앞다퉈 기부 25.01.05
- 다음글경찰·민주노총, 폭행당한 경찰관 의식불명설에 "사실아냐" 25.0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