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성장률 2.6%로 상향…내수부진에 금리인하 필요성 시사 [경기전망 확 ...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올 성장률 2.6%로 상향…내수부진에 금리인하 필요성 시사 [경기전망 확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4-05-16 18:10

본문

뉴스 기사
KDI, 성장 전망 0.4%p 올려잡아
"점진적 경기회복 국면 진입할 것"
근원물가 상승률도 둔화 분석
소비 우려에도 단기부양책은 반대


올 성장률 2.6%로 상향…내수부진에 금리인하 필요성 시사 [경기전망 확 바꾼 KDI]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개월 만에 2.2%에서 2.6%로 상향했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제시한 전망치와 같다. 글로벌 교역부진이 완화되고 반도체 경기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수출이 빠르게 증가해 점차 경기회복 국면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내수는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소비와 투자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며 통화정책 기조를 긴축에서 중립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16일 KDI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월 내놓은 전망에서 0.4%p 올린 것이다. 올 1·4분기 실질 GDP가 1.3% 깜짝 증가한 지표가 나온 후여서 국책연구기관인 KDI가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상향조정한 사실은 새삼스럽지는 않다. 국내외 기관, 투자은행IB 등도 이미 상향조정했다. OECD가 2.6%, JP모건이 2.8%로 올려 잡았다.

KDI는 "우리 경제가 점차 경기회복 국면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현 경제상황을 요약했다.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우려도 상당히 완화됐다고 판단했다. KDI 정규철 경제전망실장은 "우리 경제의 물가, 경기 흐름을 감안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점진적 경기회복 예상 국면에선 추가적 경기부양 필요성은 자연스럽게 축소된다"는 재정정책 제언도 했다.

■소비부진 여전…물가 둔화흐름

KDI는 현 경제상황을 "수출이 빠르게 증가해 경기회복세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글로벌 교역부진이 완화되고 반도체 경기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는 게 근거다.

이 같은 경기진단은 이날 발표된 수정경제전망 지표에서 드러난다. 지난 2월 내놓은 올해 경제전망에서는 2024년 총수출물량기준을 4.7% 증가로 잡았지만 이날 수정전망에서는 5.6% 증가로 상향했다. KDI 김지연 연구위원은 "글로벌 반도체 거래액이 급증하는 가운데 세계 교역량 부진이 완화됨에 따라 우리 수출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대폭 증가하고 있다"며 "올 경상수지 흑자규모도 703억달러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흐름 전반을 짓누르던 물가상승률 또한 근원물가 하향안정세를 근거로 둔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2.5%보다 높은 2.6%로 잡았지만 근원물가는 기존 2.3%로 같았다.

다만 민간소비, 건설투자에 대해서는 여전히 "우려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날 내놓은 올 민간소비 증가율은 1.8%로 기존1.7%보다 다소 높았다. 건설투자는 -1.4%로 기존 전망치와 같았다. 다만 내년에도 -1.1%로 전망했다.

■금리인하 필요성 시사…부양책 No

수출이 개선되고 물가는 둔화되지만 소비는 여전히 우려된다는 경기인식에 근거, KDI는 재정·통화·금융정책에 대한 정책제언을 내놨다.

우선 통화정책당국은 물가부담 완화 속에 소비둔화 지속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2%대 물가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고금리 기조가 내수확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미국보다 빠른 금리인하로 양국 간 금리차를 확대시키게 되면 외국인 투자자본 유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미국을 너무 따라갈 필요 없이 우리나라의 경기상황에 맞춰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재정정책도 현재보다 재정투입을 줄이는 형태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정 실장은 "재정정책도 지금 다소 확장적인 기조라고 평가하는데 경제가 정상적인 궤도로 간다면 재정적자 폭도 줄면서 재정정책도 정상적인 궤도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이보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수의 대신 그 한복 입고 떠난 故 김자옥…"얼마 드릴까" 묻자
자퇴·동거→16세 임신 女 "남편 직장 동료가 얼굴 보더니.."
"사업 망해 의사 아버지께 손 벌리자.." 김원준 오열
박하선 " ♥류수영, 이혼숙려캠프 후 다정하게 대했더니.."
뺑소니 은폐 의혹 김호중 팬카페에 올라온 의미심장한 사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81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5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