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 신뢰도 또 추락…발란 사태로 구조조정 빨라지나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이커머스 신뢰도 또 추락…발란 사태로 구조조정 빨라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30 15:40 조회 3 댓글 0

본문

- “여기저기서 사고만 터뜨려” 동종업계 하소연
- 발란 공지에도 셀러들 “알맹이 없어” 반발
- “중소 플랫폼 걸러야” 목소리에 업계 ‘곤혹’
- C커머스·쿠팡·네이버 중심 구조조정 속도낼 듯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미정산 사태가 국내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이미 지난해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로 미정산 트라우마를 겪었던 입점 판매자셀러들 사이에선 ‘대형 플랫폼’으로의 쏠림 현상도 감지된다. 중소 버티컬특화 플랫폼 전반의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향후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구조조정도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커머스 신뢰도 또 추락…발란 사태로 구조조정 빨라지나
발란이 2024년 서울 여의도 IFC몰 내 열었던 ‘커넥티드 스토어’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중고 명품 플랫폼 ‘필웨이’의 김성진 대표는 최근 자사 홈페이지에 “이번 B사발란의 정산 지연 사태는 명품 플랫폼 혹은 중고 명품 플랫폼의 신뢰에 타격을 입히고 있다”며 “그동안 지켜온 정산·환불 룰방식은 지난 23년간 한결같이 유지해왔고, 어느 하루 늦은 날도 없다”고 글을 올렸다.

발란이 최근 미정산 사태로 논란을 일으키면서 국내 명품 플랫폼 시장의 신뢰도가 추락할 조짐을 보이자 셀러 대상으로 읍소에 나선 것이다. 김 대표는 “이전에 티몬, 위메프, 알렛츠 등 여러 사건을 통해서 플랫폼 사업이 신뢰에 타격을 입었고 또 한 번 타격이 추가됐다”며 “자꾸 여기저기서 사고를 터트리니, 변명 아닌 변명 같은 글을 쓰게됐다”고 하소연했다.


발란은 지난 28일 최형록 대표 명의의 공지로 셀러 달래기에 나선 상태다. 최 대표는 “이번 주 안에 대금지급 실행안을 확정하고 차주부터 대면 소통을 통해 그간의 경위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겠다”며 셀러들에게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이날 발란의 공지엔 정확한 대금지급 일정에 대해선 언급된 것이 없었다.

그간 셀러들은 ‘28일까지 대금지급 일정을 공지하겠다’는 당초 발란 측의 약속을 믿고 기다렸지만, 이날 최 대표의 공지에 관련 내용이 없자 크게 반발했다. 일부 셀러들은 이날 플랫폼 내에서 상품을 내리는 동시에 고객들에게 반품 조치를 진행하기도 했다. ‘알맹이’ 없는 최 대표의 공지에 “도망갈 시간을 벌기 위한 수작 아니냐”는 격앙된 분위기도 감지됐다.

28일 밤부턴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발란의 자체 결제서비스인 발란페이도 멈춘 상태다. 현재 결제창에는 ‘모든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하다’는 안내문만 뜬다.

현재 셀러들 사이에선 “앞으로 중소 플랫폼은 걸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모양새다. 지난해 티메프 사태를 겪었음에도 발란이 제대로 된 정산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는 점에서 중소 플랫폼 전반에 대한 의구심이 짙어지는 모습이다. 업계에 따르면 그간 발란은 에스크로제3자 정산대행 서비스도 도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상황이 이처럼 흘러가자 중소 이커머스 업계도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특화된 영역에서 이커머스 사업을 전개해 온 버티컬 플랫폼들의 불안감이 상당하다. 지난해 티메프 사태 당시에도 중소 플랫폼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상당 수 셀러들이 이동하는 등 후폭풍이 있었기 때문이다. 필웨이 대표가 타사 사건에 직접 공지까지 쓴 것도 이 같은 불안감에서 비롯된 조치로 보인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지난해 티메프 사태로 인해 하나의 변곡점을 지났다. 이젠 중국 이커머스와 쿠팡·네이버 등 대형 플랫폼 중심의 시장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나름 차별화로 경쟁력을 보였던 버티컬 중소 플랫폼들이 발란 사태처럼 신뢰도를 추락시킨다면 대형 이커머스로의 쏠림화 현상은 더 빨라질 것이란 것이 업계 시각이다. 더욱이 최근 종합 이커머스 플랫폼들도 자체 버티컬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는 만큼 중소 플랫폼의 입지가 점차 줄고 있는 것도 한 이유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대학원장은 “이번 발란 사태처럼 그간 이커머스 업계에서 내부 시스템 등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채 급격하게 성장했던 거품들이 하나둘 꺼지면서 구조조정이 더 빠르게 일어날 것”이라며 “티메프와 발란 사태를 교훈 삼아 국내 셀러들도 이젠 시스템과 재무 능력 등 경쟁력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발란은 2015년 설립된 명품 플랫폼사로 2022년 3000억원의 기업가치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기업가치가 300억원대로 추락했다. 2020∼2023년 4년간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지난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발란은 실적 부진 속에서 어떻게든 매출을 일으키려고 10% 초반대의 판매 수수료를 초과하는 20∼30% 할인쿠폰을 남발했고 결국 플랫폼의 총체적인 부실로 이어졌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 관련기사 ◀
☞ “이런 상황에 산에서 담배를”…역대 최악 산불에도 ‘안전불감증 [르포]
☞ 월세 1억3000만원 내는 BTS 제이홉…부동산 투자 보니[누구집]
☞ [단독]與주장 이재명 파기자판 불가능..2심 무죄→형확정 전무
☞ 뉴진스-어도어 운명 가를 본안 소송 이번주 시작
☞ 먹고 나면 속 편하대 우르르…강남서 인기 빵 터졌다[르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정유 thec98@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