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바뀌어도 원전 확대 못박은 정부…"지원 특별법 제정"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정권 바뀌어도 원전 확대 못박은 정부…"지원 특별법 제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8회 작성일 24-02-22 16:35

본문

뉴스 기사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주제 발표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을 주제로 열린 열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주제 발표를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중장기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 등을 담은 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 이는 향후 정권이 바뀌더라도 원전 확대 정책은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풀지 못한 채 무리하게 신규 원전을 추진한 데 따른 후폭풍이 감지되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 회의실에서 열린 ‘다시 뛰는 원전산업 활력 넘치는 창원·경남’ 민생토론회 관련 브리핑에서 “중장기적인 원전 건설, 운영에 대한 정부 차원의 목표를 담은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올해 안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이 같은 내용은 원전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통해 법제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전 특별법 추진 배경에 대해 안 장관은 “원전 정책과 생태계가 정상화 중이지만 향후 또다시 정책 변화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생길 수 있다는 원전 업계와 연구계, 학계 등의 우려를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상반기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하반기 국회 구성 후에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가 원전 특별법 추진을 공식화하면서 신규 원전 추진 속도 역시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에너지 전문가들과 정부 관계자들이 참여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수립 총괄위원회’는 신규 원전 건설 규모, 신재생에너지 비중 등 쟁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위원회는 신규 원전 규모를 두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원전업계는 적어도 4기 이상의 원전을 신설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산업부는 부지 문제로 3기 이상은 어렵다고 주장하면서 전기본 마련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애초 ‘10기 이상’의 신규 원전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부지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4기 이상’으로 좁혀진 상황이다.

‘신규 원전 2기’는 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과 한국전력원자력대학원대학교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한수원 소유 부지여서 기존 시설 이전이나 수용성에 문제가 없다는 점이 반영됐다. 한수원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도 신규 원전 유치에 긍정적인 반응이어서 다른 부지에 비해 건설 논의에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추가 원전 부지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당초 신규 원전을 추진하다가 무산됐던 영덕은 원전 예정 구역 지정을 정부가 공식 철회하면서 토지 보상 문제가 불거졌다.

당초 정부는 실무안 마련, 부처 협의, 국회 보고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상반기까지 11차 전기본을 확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이 참여한 실무안은 지난해 12월에 공개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이견이 좀처럼 해소되지 못하면서 공개 시점은 연기됐다.

일부에서는 사용후핵연료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무리하게 신규 원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신규 원전 추진을 두고 여야 이견으로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 등을 담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특별법’은 21대 국회에서도 사실상 무산됐다. 국회 상임위원회 법안 통과 마지노선이 이달 29일이지만 고준위 특별법은 다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2030년 한빛원전을 시작으로 한울·고리원전 순으로 원전 내 습식저장시설은 포화될 예정이다. 원전 부지 안에 건식저장시설을 짓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지역 주민 반발로 이 또한 쉽지 않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진양철 회장 집’ 공사비 87억…“역사성 훼손·혈세 낭비” 논란
· 부산 엘시티 99층서 뛰어내린 뒤 사라진 사람 찾았다
· 류현진, 드디어 계약···‘8년 170억’ 한화 복귀 완료
· 며느리를 ‘개××’라 욕한 임금···‘독 전복구이’ 올가미로 죽였다
· 이제 59㎡가 새로운 ‘국민평형’이라고요?
· “모아이 돌려줘라”…대영박물관 댓글 창 폭파됐다
· 넷플릭스 빠진 OTT 물가잡기, 실효성 논란 ‘와글’
· “타사 보란듯 잡도리”···시민이 본 방송심의
· 미국, ‘크름 사정권’ 장거리 에이태큼스 우크라 지원 논의
· 누가, 왜 그렇게 평가했는지 당사자도 알 수 없는 의원 평가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97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10,10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