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유니콘 83% 수도권 쏠림…"지역 인재지원 늘려야"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예비유니콘 83% 수도권 쏠림…"지역 인재지원 늘려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3-06-11 06:02

본문

뉴스 기사
중기부 선정 예비유니콘 12개만 비수도권
청년들 비수도권 선호가 기업생태계 영향
"취약한 맨파워가 문제…인재 지원 필요해"

예비유니콘 83% 수도권 쏠림…

[서울=뉴시스] 서울 도심 오피스 단지.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이수정 기자 =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의 예비 유니콘 10곳 중 8곳이 수도권에 쏠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의 비수도권 선호 현상이 기업 생태계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김정호 중소벤처기업연구본부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지역 예비유니콘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선정한 예비유니콘 70개 중 12개가 비수도권에 위치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58개의 기업은 수도권에 있었다. 이를 총 100개 기업으로 치환하면 약 83%의 기업이 수도권에 자리한 셈이다.

예비 유니콘은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의 비상장 기업을 뜻한다. 중기부는 지난 2019년부터 K-유니콘 프로젝트를 통해 예비유니콘 96개사를 선정해 지원했다. 예비유니콘은 위치에 따라 평균 매출액과 평균 고용 또한 차이가 도드라졌다.

수도권 예비유니콘의 평균 매출액, 평균 고용은 각각 190억원, 104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 예비유니콘의 평균 매출액, 평균 고용은 45억원, 72명으로 수도권 예비 유니콘에 미치지 못했다.

수도권 예비유니콘 기업과 비수도권 예비유니콘 기업의 업종 차이도 영향을 미쳤다. 수도권 예비유니콘 66%는 IT플랫폼, 서비스, 소프트웨어 업종이다. 비수도권 예비유니콘 중 약 83%는 제조, 바이오 등 스케일업까지의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업종으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지역의 경우 스케일업 기반이 취약해 성장이 쉽지 않다. 중기부는 이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 지역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스케일업 연구·개발 지원 사업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 사업은 현장수요형 Ramp;D연구개발를 통해 위기지역과 위기업종 중소기업에 현장맞춤형 기술애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스케일업 Ramp;D를 연계 지원해 기업의 신제품 개발, 제품고도화 등 지속성장을 지원한다.

일각에서는 취약한 맨파워가 그대로 기업 성장 수치에도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부분의 인프라가 수도권에 몰려있는 탓에 청년들의 수도권 선호 현상이 심화되고 비수도권은 기업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인재를 구하기조차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지역 인재 지원을 늘리고 관련 기업 특색을 살리는 사업도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안기돈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지역에 있는 기업들은 고용을 하고 싶어도 고용을 못하는 실정"이라며 "창업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지역 기업에 취업해서 일을 배운 뒤 다시 창업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활성화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rystal@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지민, 여고생 시절 노출 방송 의혹→SNS 폐쇄
◇ 父 서세원 떠나보낸 서동주, 긴머리 싹둑
◇ 국민 첫사랑 유명 셰프와 불륜설에 주류광고 삭제
◇ 전남친 구설 박민영, 일본서 파격 패션
◇ 이효리♥이상순…스위스에서도 힙한 미모
◇ 양양 설악해변서 낙뢰 사고…1명 심정지·3명 부상
◇ "가격은 딱 한장"…그리, 김구라 몰래 세컨카 구매
◇ 박남정 "대입 5관왕 둘째 딸, 배우 준비중"
◇ 만 15세 임신 김소라母 "딸 출산, 일주일 전 알아"
◇ 오로라공주 서우림…두번의 이혼과 아들의 극단선택

저작권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58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97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