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램시마SC, 캐나다서 염증성장질환 적응증 추가 승인받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셀트리온 램시마SC, 캐나다서 염증성장질환 적응증 추가 승인받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02-19 09:18

본문

뉴스 기사

북미 시장 공략 가속화

셀트리온의 램시마SC가 캐나다 보건부에 IBD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 /더팩트 DB
셀트리온의 램시마SC가 캐나다 보건부에 IBD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셀트리온은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의 염증성장질환이하 IBD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고 19일 밝혔다.

IBD는 면역체계가 대장 또는 소장을 표적으로 공격해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질환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더비즈니스리서치컴퍼니에 따르면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올해 약 255억6000만달러약 33조2280억원로 추정된다.

이번 IBD 적응증 승인은 크론병CD 환자 343명과 궤양성 대장염UC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3상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임상에서 램시마SC는 1차 결과변수인 임상적 관해CD 및 UC와 내시경적 반응률CD, 주요 2차 결과변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위약대비 우월한 유효성과 유사한 안전성을 확인했다.

램시마SC는 기존 정맥주사이하 IV 형태인 인플릭시맙 성분을 피하주사SC로 변경해 허가 받은 유일한 바이오의약품이다.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직접 주사할 수 있어 치료 편의성을 크게 개선한 것은 물론, 임상에서도 기존 IV 제형 대비 강점을 보여 기대를 모으고 있다.

셀트리온이 국제학회에서 발표한 램시마SC 글로벌 3상의 사후분석 결과에 따르면, 램시마SC는 기존 용량120mg 대비 증량 투여240mg에서 효능 회복에 효과를 보인 반면, 안전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램시마SC 단독 투여군에서 면역억제제 병용 투여군 대비 유사한 수준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한 바 있다.

실제로 이 같은 강점을 바탕으로 유럽 주요 5개국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램시마SC의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약 20%로 나타났으며, 특히 독일은 37%, 프랑스는 26%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IV 제형의 기존 램시마까지 합하면 유럽 주요 5개국의 인플릭시맙 시장 점유율은 약 72%에 이른다.

캐나다의 경우 인구수 대비 넓은 영토를 가진 지리적 특성상 자가 투여 방식으로 인한 환자 편의성 증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셀트리온 캐나다 법인은 유럽 등에서 누적된 방대한 처방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의 우수성을 전파하고, 램시마SC를 IBD 분야 선두 치료제로 자리매김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셀트리온은 이번 캐나다 IBD 적응증 확보와 올해 미국에서 신약으로 출시하는 ‘짐펜트라’를 통해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 양국에서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직접판매직판 체계 구축도 완료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캐나다에서 IBD 적응증 추가 승인을 통해 램시마SC의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며 "글로벌 임상에서 입증한 효능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유럽에서의 성공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에 이어 북미에서도 양질의 바이오의약품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인기기사]

· [강일홍의 클로즈업] 현역가왕 숨가쁜 레이스, 스타탄생 완성판

· 홍예지, 연이은 주연길…세자가 사라졌다로 시너지낼까[TF초점]

· 10대 딸 끌어들여 나비약 불법 판매한 유치원 교사

· 택시 완전월급제 첫발 뗄까…서울시 "최저임금 보장 검토"

· 매일 거세지는 이재명 비판…한동훈의 명모닝 이유는?

· 대통령실 제2부속실 설치, 총선 이후로 밀릴까

· 중국 줄이고 美·日 늘리고…해외 전략 손보는 화장품 업계 [TF초점]

· [오너가 문제다⑨] 갈 길 바쁜 롯데, 올해 신동주發 리스크 털어낼까

· IPO 재도전 나서는 케이뱅크…기대 반 걱정 반

· 한터뮤직어워즈, 에스파 3관왕·NCT드림 대상…안전사고 우려 옥에 티종합

- 특종과 이슈에 강하다! 1등 매체 [더팩트]
- 새로운 주소 TF.co.kr를 기억해주세요! [http://www.TF.co.kr]
- 걸어 다니는 뉴스 [모바일웹] [안드로이드] [아이폰]
- [단독/특종] [기사제보] [페이스북] [트위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60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7,73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