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최악의 상황 벌어졌다…뿌리째 흔들리는 내수기업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구조조정 최악의 상황 벌어졌다…뿌리째 흔들리는 내수기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3-12-03 18:27

본문

뉴스 기사
감원 칼바람…내수 기업이 휘청인다
소비 침체·中 저가 공세·가격인하 압박 삼중고

구조조정 최악의 상황 벌어졌다…뿌리째 흔들리는 내수기업

연말인데 썰렁하네…소비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유통·식품 등 내수기업들이 잇달아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는 등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휴일인 3일 한 백화점이 한산한 모습이다. 김병언 기자


유통, 식품, 화장품 등 내수에 상당 부분 의존하는 국내 기업에 감원 삭풍이 불고 있다. 고물가, 고금리에 따른 소비 침체와 중국산 저가 공세,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 등 삼중고로 실적이 곤두박질치자 고강도 구조조정에 들어간 것이다. 경제계에서는 “유례없는 복합 위기로 경제를 떠받치는 주요 축인 내수산업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식품·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지난달 말부터 근속연수 10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롯데마트는 2021년에도 두 차례에 걸쳐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200여 명이 퇴사했다.

롯데마트 외에도 올해 들어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롯데홈쇼핑, 매일유업, 파리크라상, 11번가 등의 내수기업이 희망퇴직을 시행했거나 진행 중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 정도를 제외하면 전례 없는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어닥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주요 내수기업이 잇달아 감원 카드를 꺼낸 것은 내수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경영 여건이 크게 나빠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전망한 올해 민간 소비 증가율전년 대비은 1.9%로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4.8% 후 가장 낮다. 소비 침체 등 여파로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1~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40% 급감했고, 롯데홈쇼핑은 적자 전환했다.

상황이 더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발간한 ‘2024년 소비시장 전망 조사’ 보고서에서 소비심리 위축 심화와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내년 소매시장 성장률소매판매액 증가율이 올해2.9%의 반토막 수준인 1.6%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다른 업종보다 고용 효과가 큰 내수기업의 감원 도미노가 이어지면서 소비가 더 위축되는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했다.
롯데마트·LG생건·아모레퍼시픽 등 잇단 희망퇴직
경영여건 악화로 실적 곤두박질…"내년이 더 문제"
국내 1위 대형마트인 이마트의 영업이익률은 2019년부터 4년 넘게 0~1%대에 갇혀 있다. 1000원어치를 팔아 불과 10원 안팎의 이익을 남겼다는 뜻이다. 한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통업종의 수익성은 제조업에 비해 낮은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마트의 영업이익률은 미국 월마트4.4%·최근 5년 평균, 일본 이온2.2% 등 주요국 1위 유통사와 비교해도 초라한 수준이다. 증권업계에선 올해 이마트의 영업이익률0.3%·에프앤가이드 집계이 작년0.4%보다 더 낮아질 것으로 본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기업 간 경쟁 심화로 저수익 구조가 고착한 가운데 소비 위축과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까지 겹쳐 내수기업들이 한계에 내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 복합 위기에 빠진 내수기업
소비 침체에 따른 위기감은 세부 업종을 가리지 않고 내수기업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 최근 방문판매 사업부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한 아모레퍼시픽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은 172억원으로, 증권사 컨센서스추정치 평균·366억원를 52%가량 밑돌았다. 업계에서 “어닝 쇼크를 넘어 어닝 절벽 수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증권업계는 올해 아모레퍼시픽이 역대 최소인 1333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 거둔 이익1430억원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창사 이후 처음으로 6월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LG생활건강 역시 올해 영업이익이 2020년1조2209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음식료 업체들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CJ제일제당과 대상의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0.9%, 11.5%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코나그라, 켈라노바 등 해외 경쟁사가 두 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율을 이어가는 것과 대조적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원재료값과 인건비 증가 등의 여파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지만 정부 압박 탓에 제품 가격을 올리기도 어려운 처지”라고 말했다.
○ 외국인 유입도 기대 못 미쳐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의 대표적 수혜 업종으로 꼽힌 면세점 업계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 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1~9월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은 월평균 14만4000명으로, ‘사드 보복’으로 한국행 단체 관광이 금지된 2017~2019년 수준월 41만6000명을 크게 밑돌았다. 10월 국내 면세점의 외국인 매출한국면세점협회 집계도 8억1000만달러약 1조52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34% 급감했다.

11번가 등 e커머스 업계는 알리익스프레스 등 초저가를 내세운 중국 업체의 돌풍에 맥을 못 추고 있고, 롯데홈쇼핑 등 주요 홈쇼핑 업체들은 TV 시청률 하락으로 매출이 수년째 뒷걸음치고 있다.
○ ‘감원→소비 위축’ 되풀이 우려
문제는 고용 효과가 큰 내수기업의 실적이 악화하면 종사자들의 고용·소득이 불안해지고, 이에 따라 소비가 더 위축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음식료 업종과 도소매 업종의 고용유발계수매출 10억원당 고용 인원·2019년 기준는 각각 6.4명과 10.4명으로, 제조업 평균4.7명과 서비스업 평균9.2명을 웃돌았다. 지난 6년 연속 매출이 전년 대비 감소한 롯데쇼핑만 해도 6년간 5600명이 넘는 임직원이 회사를 떠났다.

그나마 내년 소비시장 전망과 관련해 일각에서 조심스러운 낙관론이 나오는 것은 긍정적 신호다.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면 내수가 회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대세지만 “반도체 수출 지표 등이 개선된 것을 고려할 때 소비심리는 바닥을 쳤다”는 관측도 있다.

하헌형/양지윤 기자 hhh@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81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83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