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달러 지폐가 어쩌다"…미국인들 꺼리는 애물단지 된 이유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100달러 지폐가 어쩌다"…미국인들 꺼리는 애물단지 된 이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4-02-26 07:01

본문

뉴스 기사
생각만해도 행복한 100달러 지폐
미국인들은 싫어한다는데…

10년만에 2배 늘어난 美 100달러 지폐 발행량
거스름돈 불편에 위조 우려까지 애물단지
학계선 "고액권이 소비 줄이는 효과" 주장도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 벤자민 프랭클린이 새겨진 100달러 지폐. 한경DB



100달러 지폐 발행량이 10년만에 2배로 늘며 미국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는 화폐로 쓰이고 있다. 동시에 100달러 지폐를 싫어하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022년 100달러 지폐 발행량은 185억장으로 2012년 86억장 대비 115% 증가했다. 2017년부터는 1달러 지폐 발행량을 넘어서며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화폐가 됐다.

그러나 100달러 지폐는 점차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레이자 시슨26은 최근 뉴욕 벼룩시장에 100달러 지폐 5장으로 물건을 사려고 했지만 번번이 퇴짜를 맞았다. 상인들은 거스름돈을 줄 수 없다거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디지털 결제만 가능하다고 했다. 카페와 동네 과일가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시슨은 "특히 벼룩시장에서는 현금이 더 편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토로했다.

100달러 지폐가 불청객이 된 것은 돈을 거슬러주기 번거로워서만은 아니다. 위조 지폐 위험도 사람들이 100달러 지폐를 꺼리는 이유다. 사람들은 100달러 지폐를 받을 때 불빛을 비춰 USA 100이라는 표시를 확인해 진위 여부를 확인하거나, 위조 지폐가 닿으면 잉크가 검게 변하는 펜을 쓰기도 한다. 일부 매장에서는 위조지폐 감지기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전체 결제의 약 60%가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로 이뤄지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현금 사용은 급감했다.

그럼에도 100달러가 널리 보급된 것은 현금 보관용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Fed가 발행한 100달러의 절반 이상은 해외에 보관돼있다.

학계에서는 고액권이 소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헬렌 콜비 인디애나대 켈리 경영대학원 마케팅 조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20달러 지폐 5장에 비해 100달러 지폐를 받았을 때 물건을 구매할 의향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돈이 들어오는 형태가 사람의 소비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지폐 효과다.

신용카드는 돈을 쓰고 난 후 카드를 돌려받지만 100달러 지폐를 쓰면 그 지폐가 사라지는 느낌이 드는 사례, 1달러 지폐는 쉽게 써도 된다는 생각이 들지만 100달러 지폐는 매우 의미 있고 든든하게 느껴지는 사례 모두 지폐 효과의 일종이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71
어제
812
최대
2,563
전체
423,60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