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 봄방학, 이번엔 국내 여행갈까"…고금리에 대출 갚느라 쓸 돈 없는 3...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애들 봄방학, 이번엔 국내 여행갈까"…고금리에 대출 갚느라 쓸 돈 없는 3...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4-02-26 07:23

본문

뉴스 기사
한국은행 보고서

금리 오르면 소비 증가세 줄어
“물가 안정시 소비회복 긍정적”


quot;애들 봄방학, 이번엔 국내 여행갈까quot;…고금리에 대출 갚느라 쓸 돈 없는 3040


고물가·고금리가 지속되며 소비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빚을 내서 집을 산 30·40세대가 금리 인상 이후 소비를 가장 많이 줄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때 가계소비 증가율은 0.32%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 조사국은 ‘가계별 금리 익스포저를 감안한 금리 상승의 소비 영향 점검’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금리 상승에 따라 가계가 저축을 늘리고 현재 소비를 줄이는 ‘기간 간 대체’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소비는 품목·가계 특성과 무관하게 광범위하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가계 순저축률은 과거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가계별로 금리 익스포저가 낮은 1∼3분위를 ‘금리상승 손해층’으로, 5분위를 ‘취약층’으로, 9∼10분위를 ‘금리상승 이득층’ 등으로 구분했다. 금리에 민감한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금리상승 손해층’은 30·40대의 비중이 높았다. 소득은 중상층, 소비는 상위층에 집중돼 있었다. 특히 주택보유비중, 수도권 거주 비중, 부채가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부동산담보대출 비중 역시 컸다. 금리민감 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금리상승 이득층’과 비교하면 평균적으로 젊고, 소득수준은 다소 낮지만 주택보유비중과 소비수준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익스포저가 중립에 가까운 취약층은 저소득·저자산·저부채 가구가 많았다.

팬데믹 이후 가계 소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제로 ‘금리상승 손해층’의 소비 회복이 가장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지난 2022년 소득요인을 제거한 소비증가율을 살펴본 결과, 취약층의 소비감소는 금리상승 손해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했으며 금리상승 이득층의 소비는 소폭 증가했다.

한은에 따르면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때 가계소비 증가율은 0.32%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소비 증가율 변화를 전 분위에 적용되는 ‘기간 간 대체’ 효과와 금리 익스포저 영향으로 나눠보면, 기간 간 대체는 0.26%포인트, 금리 익스포저 격차는 0.06%포인트 소비 증가율을 낮췄다. 금리상승 손해층에 소비 성향이 높은 가계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됐지만, 금리상승 이득층에는 소비성향이 낮은 가계가 많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정동재 거시분석팀 과장은 “앞으로 물가가 안정됨에 따라 금리도 낮아지면 가계 소비도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그간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물가수준이 크게 높아진 점은 향후 소비 회복 속도를 제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계약 몇건이면 대기업 연봉 건진다”…그런데 한달새 1300곳 문닫아, 대체 무슨 일?

“1억1200만원 반납하라” 퇴직 7년 넘은 전직 교장에 무슨 일이?

“금 반지 줄까 은 반지 줄까”…삼성이 만든 ‘절대반지’ 갤럭시링, 베일 벗는다

[단독] “창사 이래 첫 적자, 군살 확 뺀다”…점포 줄이고 사업부 통합하는 ‘이 회사’

“K-주식 결전의 날 다가온다”…주말 사이 투자자들 잠 못 든다는데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71
어제
812
최대
2,563
전체
423,60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