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정부 원전 산업 키운다지만…"원전 안전 기술 미국보다 4.9년 뒤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단독] 정부 원전 산업 키운다지만…"원전 안전 기술 미국보다 4.9년 뒤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6회 작성일 23-08-31 04:31

본문

뉴스 기사
원자력 주요 5개국 중 미국 기술 가장 앞서
한국 원자력 안전 기술은 미국의 84.9%
[단독] 정부 원전 산업 키운다지만…quot;원전 안전 기술 미국보다 4.9년 뒤처져quot;


정부가 2030년 원전 수출 10기를 목표로 원전 산업 지원을 늘리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원자력 안전 기술 수준이 여전히 미국을 100으로 볼 때 84.9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전 부지 안전성 평가 기술, 원전 해체 기술 등이 미국보다 6~8년 정도 뒤처져 있어 서둘러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30일 ㈜비피기술거래의 박기혁 책임연구원이 한국연구재단에 낸 2022년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원자력 분야 안전 기여도 및 기술수준 분석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원자력 안전 기술 수준은 원전 분야 기술을 가장 많이 가진 미국의 84.9%에 그쳤다. 미국과 기술 격차를 시간으로 비교하면 4.9년 뒤처졌다.

박 연구원이 국내 원자력 안전 기술을 평가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산학연 전문가 5명을 자문위원회로 꾸려 150명의 원전 산업 종사자, 전문가를 추천받아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는 82명으로 이 중 일부는 종사하는 부서나 팀 의견을 모아 답했다. 설문 문항은 94개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20년 기술수준 평가를 참고해 한국,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원전 주요 5개국을 비교하게 만들었다.

답변을 분석한 결과 원자력 안전 기술이 가장 앞선 나라는 미국으로 94개 항목 전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국가별 평균 점수는 미국 95점, EU 87점, 일본 81점, 한국 80점, 중국 63점이었다.



"전 분야 따라잡기보다 차별화 분야 정해 연구개발 집중해야"

064fd954-3009-4a1b-ac2a-6540af88b526.jpg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술 격차는 평균 4.9년이었다. 특히 △원전 부지 지질 및 지질 구조 특성평가 기술 8.1년 △지진 및 자연재해 확률론적 재해도 평가 기술 7.2년 △구조물 및 기기 내진성능 향상 및 면진 기술 7.7년 등 원전 부지 안전성 평가 기술 수준이 미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수출에 공을 들이고 있는 원전 해체 기술 역시 미국보다 5년 이상 늦다. 기술 격차 기간은 △원자력 시설 제염방사능 물질을 닦아내는 기술 5.1년 △해체 폐기물 처리 및 관리 기술 5.9년 △오염 부지 환경복원 기술 6.1년 등이다. 정부는 2017년 부산 기장군 고리 1호기 영구정지를 결정하며 15년 이내에 원전 시설을 즉시 해체하는 방안을 선택했고 이 기술을 자체 개발해 해외로 수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보고서는 "원자력 안전 기술 전 분야를 따라잡으려 하기보다는 원전 해체 분야, 소형 원자로 등 한국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특정 분야에 대해 연구 개발을 집중하는 체계적이고 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정책적 차원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개발의 전략적 기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윤주 기자 misslee@hankookilbo.com



관련기사
- 건어물 한 봉지 6배 폭리 관광객엔 그렇게 팔지 않나요
- 한덕수 오염수→처리수 검토… 野 尹, 국민에 선전포고
- 현빈, 의외의 장소서 포착…아내 손예진과 데이트 근황
- 육사 홈피에 백선엽 웹툰 부활… 홍범도 OUT, 백선엽 IN?
- 돌싱 김새롬, 깜짝 고백 현재 열애 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25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16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