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 4000원·칼국수 9000원…"점심시간이 두렵습니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김밥 4000원·칼국수 9000원…"점심시간이 두렵습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4-02-19 09:08

본문

뉴스 기사
외식물가 상승률 30년 만에 최고…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의 두배
1000원 메뉴의 상징 김밥 4000원·샐러드 도시락 1만2000원
지갑 얇은 직장인들, 편의점·구내식당으로 발길 돌려


김밥 4000원·칼국수 9000원…quot;점심시간이 두렵습니다quot;
#. 지난 16일, 직장인 밀집지역인 서울 강남의 한 편의점. 점심시간이 되자 컵라면과 도시락을 사려는 이들로 매장이 붐볐다. 매장 한쪽에 마련된 테이블 구역은 이미 편의점 음식으로 점심을 때우는 혼밥족들로 만석을 이뤘다. 대체로 컵라면, 컵밥, 김밥, 도시락 등을 구입한 뒤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뉴스를 검색하며 식사하는 모습이었다. 집에서 간단히 싸 온 도시락과 컵라면을 함께 먹는 이도 있었다.

인근 건물에 근무하는 30대 직장인 A씨는 "오늘 점심 약속이 취소돼 간단하게 먹으려고 편의점을 찾았다"며 "요즘 식당에서 가벼운 메뉴조차 1만원이 훌쩍 넘어 비즈니스 미팅이 없는 날은 편의점을 애용한다"고 대답했다.

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요즘은 여럿이서 식사하더라도 계산은 각자 하는 추세"라면서 "선배로 보이는 손님이 음식값을 모두 지불하는 경우도 있지만 비슷한 연령대끼리 온 손님들은 더치페이가 일반적이다"고 말했다.



칼국수 한그릇에 9000원… 점심시간이 두렵다


고물가에 외식값이 치솟으면서 점심 한 끼 사 먹는 것조차 부담스러워졌다. 찌개, 국밥 등 자주 팔리는 점심 메뉴뿐 아니라 샐러드 같은 가벼운 메뉴조차 1만2000~1만5000원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서민 메뉴인 잔치국수와 칼국수는 각각 한그릇에 7000원, 9000원이고 1000원 메뉴의 대표주자 김밥은 무려 4000원까지 올랐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외식 물가 상승률은 6%로 30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달 서울 기준 칼국수 한 그릇 평균 가격은 처음으로 9000원대를 넘긴 9038원으로 확인됐다.

외식 물가가 이처럼 상승한 데는 농수산물, 신선식품 등의 생산자물가가 오른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식료품 물가는 전년 대비 6.0%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인 2.8%의 두배를 웃도는 수치다.

외식 물가가 오르자 배달 음식 이용도 자제하는 분위기다.

지난해 온라인 음식 배달 서비스 거래액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식비와 배달비가 모두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이 커진 탓이다. 자장면 하나만 시켜도 무료로 배달이 되던 것은 옛말이 됐다. 배달앱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려면 최소 주문금액을 채워야 하는데 이 역시 1만원을 훌쩍 넘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식 서비스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26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0.6% 감소했다. 이와 반대로 온라인 식품 거래액은 40조6812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외식을 하는 대신 비교적 저렴한 온라인에서 식료품이나 밀키트를 구입해 이용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편의점·구내식당 찾는 직장인들… 단체급식 업체·편의점 매출 늘어


나날이 높아지는 외식가격에 직장인들의 점심 풍속도가 달라졌다. 여럿이서 식당을 찾을 때는 더치페이를 하고 혼밥을 할 때는 편의점이나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단체급식 업체들의 실적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구내식당 수요가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지표다. 삼성웰스토리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8.2%2조7990억원, 영업이익은 75.3%1280억원 늘었다. 현대그린푸드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대비 11.0%2조1872억원, 영업이익은 9.8%847억원 증가했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11.9%3조742억원, 영업이익은 1.4%993억원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40대 이상이 구내식당으로 발길을 돌렸다면 2030 세대는 편의점을 주로 이용한다. 편의점 도시락은3000~5000원 정도로 식당에 비해 절반 정도 가격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편의점 GS25의 도시락 매출은 전년 대비 50.7% 성장했다. 편의점 CU와 세븐일레븐의 도시락 매출은 각각 27%, 35% 증가했다. GS25의 혜자로운 집밥김혜자도시락은 지난해 1800만개 이상이 팔렸다. 세븐일레븐은 배우 주현영을 모델로 내세운 비빔밥을 선보였는데 출시 한 달 만에 250만개가 판매됐다.

최저가 삼각김밥과 컵라면도 등장했다. CU는 최근 1000원 삼각김밥과 880원 컵라면을 잇달아 선보였다. 1000원짜리 삼각김밥은 CU가 5년 만에 내놓는 것으로 업계 초저가다. 880 육개장 라면 역시 기존 용기면 대비 약 20% 저렴한 가격이다.

[머니S 주요뉴스]
"3억 넣어야 1주" 에이피알, 빈손청약 전망 속 따따블 성공하나
삼성전자, 갤럭시S24 이어 S23도 AI 탑재
[단독] "실적 부진이라더니"… LG생활건강, 성과급 200% 지급
[2월19일!] "세상에서 중국을 외치다"… 최고권력자의 죽음
[컴앤스톡] 이엠코리아, 주요 사업은 다 하는데 주가는 요지부동
[특징주] 인포마크, 의사 집단행동 시 비대면 진료 전면 허용 소식에 AI 간호서비스 부각
농협금융, 강호동 당선인 출범에 변화 기류… 정영채 사장, 연임 성공할까
김밤 4000원·칼국수 9000원… "점심시간이 두렵습니다"
늘어나는 상속분쟁… 유언장보다 상속재산분할협의서가 더 중요
[기자수첩] 안전한 아파트에 살 권리
성남 아파트 경비원 숙소서 화재… 인명피해 없어
늦어지는 美 금리 인하·고물가에... 한은, 이달도 9연속 금리 동결 유력
미국서만 물먹었다… 중국산 신약에 더 높아진 FDA 문턱
"규제에는 규제"… 바이오서도 전쟁 선포한 美-中
우시는 울고 삼바는 웃고… 美-中 싸움에 韓은 표정 관리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17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2,54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