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연체율 10% 넘는 위험 새마을금고, 1년 반 새 100개 늘었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단독]연체율 10% 넘는 위험 새마을금고, 1년 반 새 100개 늘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7회 작성일 23-09-03 14:32

본문

뉴스 기사
연체율 10% 넘는 ‘위험’ 금고, 2021년말 8개에서 올해 6월 109개로
부동산PF 중심의 기업대출액 ‘14조원’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밀집
연체율 10% 미만도 유동성 등 문제...경영공시 마감일 안 지키는 금고도


사진=뉴스1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1291개 새마을금고 중 지난 6월 말 기준 연체율 10%를 넘긴 경우만 109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금고들이 내어준 기업자금대출액을 모두 더하면 14조원을 넘는다. 금고 열에 한 곳은 위험하다고 해석되는 상황에 공시마감일까지 연체율, 순자본비율 등이 담긴 세부 경영지표를 올리지 않는 금고도 나타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역시 경영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기는 커녕, 기존에 완전 개방이었던 홈페이지 공시란에는 자동 색인 작업웹 크롤링을 막기 위한 절차를 더했다.

■연체율 10% 넘는 금고 109개...고정이하여신비율도 두 배 뛰어

202309022332384603.jpg
202309022334008074.jpg

3일 파이낸셜뉴스가 전국 새마을금고 지점 1291개의 정기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 6월말 기준 연체율이 10%를 넘는 곳은 109개다. 이는 지난해 6월말 21개 대비 419%88곳 급증한 것이다. 지난 2021년 말8개와 비교하면 1년 반 만에 100여개 늘었다. 연체율이 14%를 넘는 지점은 새마을금고의 감독기준에 따라 자산건정성 평가에서 ‘위험5등급’으로 분류되는 부실 우려 금고다.

올해 상반기 연체율이 10%가 넘는 금고의 고정이하여신, 순자본 비율 등 건정성 지표는 모두 악화했다. 해당 금고들의 지난 6월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12%로 전년5.02% 대비 6.1%p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 합계액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이 전체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해당 수치가 높을수록 부실자산이 많다는 뜻이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금액도 2조4833억원으로 전년1조932억원에 비해 127.2% 늘었다. 해당 금고들의 지난해 말 순자본비율은 전년 대비 0.5%p 하락한 8.65%를 기록하며 부실에 대비할 기초체력은 약해졌다.

■위험금고가 가진 기업자금대출액 14조원 달해
202309022334592403.jpg

연체율 10% 이상 금고들이 보유한 기업대출금액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2021년 말 이 금고들이 기업에 내어준 대출액은 3조572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후 100개가 넘게 연체율이 10%가 넘는 금고가 추가되면서 지난 6월 말 기준 위험 금고의 기업자금대출액은 14조299억원으로 불어났다.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담보, 관리형토지신탁 등 기업대출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며 전체 대출의 60%를 기업대출로 구성했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이 겹치며 연체율이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다. 전체 새마을금고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8.34%로 전년 말5.61% 대비 2.73%p 늘었다.

지역으로 보면 연체율이 10%를 넘는 지점은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분포했다. △서울 33곳 △인천 15곳 △부산 13곳 △경기 14곳 △대구 8곳 △전북 6곳 등에 위치했다. 전국에서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전에 자리한 J새마을금고다. 연체율이 36.5%로 집계됐다.

■연체율 낮아도 문제...개별 금고 건정성 우려
연체율과 함께 새마을금고의 자산건전성을 평가하는 ‘순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반적으로 악화됐다. 전국 새마을금고 지점 1291개의 지난 6월말 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위험5등급’인 9%를 넘는 곳은 전년 동월13개 대비 576.9%75곳 늘어난 88개로 집계됐다. 반면 ‘우수1등급’인 3% 미만인 곳은 전년 6월에는 1057곳에 달했으나 지난 6월 657곳으로 500곳이나 줄어들었다.

연체율이 10%를 넘지 않아도 자본적정성과 유동성에 빨간불이 켜진 곳도 있다. 경북 C새마을금고의 경우 연체율이 9.43%로 10%를 하회했으나 유동성비율이 지난해 6월말 132.5%에서 올해 6월 77.6%로 급감했다. 이는 새마을금고의 경영실태평가 기준에 따르면 ‘취약4등급’에 해당하는 수치다. 더구나 금고의 자본적정성을 판단하는 위험가중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은 -2%를 기록해 ‘위험5등급’을 기록했다.

연체율이 낮지만 다른 지표가 부실한 경우도 많다. 대구 U새마을금고도 지난 6월말 기준 연체율은 2.49%로 안정적이나 순자본비율이 3.81%로 최소규제비율인 4%보다 낮아진 상태다. 부산 Y금고의 연체율은 올해 6월 0%로 매우 안정적이지만 순자본비율과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이 각각 0.43%, 1.68%로 모두 위험5등급이다.

■건전성 현황 공시마감도 어겨

공시 마감일까지 세부 경영지표를 올리지 않은 곳도 있었다. 전남 S금고와 울산 S금고, 부산 N금고, 경북 B금고, 전북 S, I금고 등 6곳은 공시 마감일인 8월 31일까지 새마을금고중앙회 홈페이지에 세부 경영지표를 게재하지 않았다. 해당 6개 금고는 경영등급을 계랑하는 경영지표가 나와 있지 않음에도 자체 지점의 경영등급을 ‘양호2등급’로 게시했다.

정보접근성도 낮아졌다. 현재 새마을금고 1291개 금고의 개별 경영공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새마을금고중앙회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각 금고마다 ‘자동입력방지 문자확인’ 코드를 입력해야만 한다.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없었던 절차가 최근 도입된 것이다.

이를 두고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지난 6월, 남양주동부지점의 뱅크런 사태 이후 개별 지점의 공시를 분석하는 방법이 유튜브 등에 퍼지고 이를 분석한 언론보도가 잇따랐다”며 “이후 개별 금고들의 요청이 있어 보안코드 입력시스템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톰 크루즈 방에 성경공부 핑계로 여성 한 명씩 들어가..."
김종인, 의미심장 예언 "尹, 나머지 임기 3년은 굉장히..."
인천 모텔 7층서 20대 여성 추락, 일행 남녀가...소름
환자 항문에 손 넣어 꼬리뼈를... 물리치료사의 시도
"조민에 후원금 20만원 쏴라" 댓글 본 조민 "1원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00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37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