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붐에 초호황 시작됐다…K-전력기기 3사, 수주잔고 13조 돌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AI 붐에 초호황 시작됐다…K-전력기기 3사, 수주잔고 13조 돌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4-05-15 15:54

본문

뉴스 기사
HD현대일렉트릭의 전력변압기. HD현대일렉트릭 제공
HD현대일렉트릭의 전력변압기. HD현대일렉트릭 제공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발 글로벌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호황기를 맞은 국내 전력기기 업계가 향후 3년 치 이상의 두둑한 일감을 확보했다. 국내 전력기기 빅3의 수주잔고는 1년 새 35% 증가한 13조원을 훌쩍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AI·신재생에너지 호황에 일감 풍년
1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등 국내 전력기기 3사의 올해 1·4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총 13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10조1000억원 대비 34.7%의 성장했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HD현대일렉트릭의 올해 1·4분기 말 수주잔고는 6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 동기 대비 66.4% 급증했다. 같은 기간 효성중공업은 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한 3조5000억원, LS일렉트릭도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2조6000억원을 기록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전력기기 업체들이 호황을 맞은 것은 AI 시장 성장, 미국 노후 전력망 교체 주기 도래, 중동 인프라 투자,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이 맞물린 결과다. AI 연산을 위한 반도체 칩은 많은 전력을 쓰는 만큼 AI 데이터센터는 일반 데이터센터 대비 20배 이상 높은 변압기 용량이 필요하다. 아울러 미국 내 변압기 및 전선의 70%, 전력 차단기 등의 60% 이상은 설치된 지 30년이 넘은 노후 설비로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다.

미·중 무역 갈등도 국내 기업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의 탈중국 공급망 정책에 따라 중국산 변압기가 줄고, 한국산 전력 설비 비중도 늘고 있다.

전력 시장 슈퍼사이클 원년

업계에서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전력 시장 강세 사이클이 나타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AI, 친환경 에너지, 반도체 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 확대가 향후 수년 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전력망 투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0년 2350억달러에서 2030년 5320억달러, 2050년 6360억달러로 커질 전망이다.

각 업체들도 생산능력 확대와 친환경, 프리미엄 제품을 통해 수요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울산 변압기 공장 신축과 미국 알라바마 법인 공장의 생산능력을 확대한다. 또 친환경 전력기기 개발, 배전기기 사업 확장, 전동화 사업회전기기 추진 등을 올해 중점 사항으로 제시했다.

효성중공업은 올해부터 해외 법인의 실적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생산법인 및 인도와 중국 법인의 풍부한 실적 잔고를 바탕으로 실적이 상승이 기대된다.

연초부터 잇따라 대형 수주를 따낸 LS일렉트릭도 미국 법인에 대한 시설투자를 지속한다. 현지 대형 로컬 업체와 직수출을 통해 북미 시장 생산거점 부재라는 약점도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22년부터 전력기기 산업의 호황이 시작된 후 굵직한 수주들이 나오고 있다"며 "앞으로 생성형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증가 등으로 전력 설비 수요는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자퇴·동거→16세 임신 女 "남편 직장 동료가 얼굴 보더니.."
선우은숙 전 남편 이영하, 재혼 생각 묻자 "여자는 없는데.."
김호중, 뺑소니에 운전자 바꿔치기까지? "매니저가.."
"내년 결혼" 에일리 3살 연하♥남친, 팔로워 85만 유명인
항거불능 韓 여성 2명 성폭행→긴급체포 일본인, 알고 보니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80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25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