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해외부동산…7조 부실 뇌관 자른다 [시한폭탄 해외부동산 투자]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시한폭탄 해외부동산…7조 부실 뇌관 자른다 [시한폭탄 해외부동산 투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5회 작성일 24-02-18 18:45

본문

뉴스 기사
리스크 관리 고삐 죄는 금융권
은행 투자 7조2754억 올해 만기
북미 공실률 늘며 손실 눈덩이
신한금융, 회계법인 통해 컨설팅
우리금융도 매달 자산현황 점검


시한폭탄 해외부동산…7조 부실 뇌관 자른다 [시한폭탄 해외부동산 투자]
미국 상업용 부동산시장 침체에 따른 글로벌 금융위기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해외 부동산 관련 대출·투자 규모가 20조원에 이르는 국내 금융지주도 손실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뉴욕 맨해튼의 마천루 모습. 뉴시스
5대 금융그룹이 시한폭탄으로 꼽히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계열사별로 전수조사를 벌이는 동시에 신한금융그룹이 회계법인 컨설팅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국내 시중은행의 해외 부동산 투자잔액이 7조원 이상에 달하는 가운데 투자손실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을 찾기 위해서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이 올해만 수조원대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다음 시한폭탄으로 지목되는 해외 부동산 투자에서 금융그룹의 손실과 책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주요 시중은행신한은행 제외의 해외 부동산 투자잔액이 7조2754억원으로 집계된 가운데 금융그룹들이 해외투자 리스크 관리방안 고도화에 나섰다.

특히 신한금융그룹은 한영회계법인을 통해 글로벌 금융회사인 HSBC 방식의 해외 리스크 관리 모범기준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금융그룹의 해외 리스크 관리방안을 글로벌 기준으로 끌어올리고, 현지 규제에 맞춤형 대응을 하기 위해서다. 업계 관계자는 "수조원대 해외투자를 벌인 신한은행은 국내 다른 금융지주보다 한층 더 높은 리스크 관리방안을 갖추고 있다"면서 "HSBC 같은 글로벌 금융회사의 모범기준 등을 검토해 보다 고도화하는 것이 이번 컨설팅의 목표"라고 말했다.

신한금융은 지난 8일 2023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해외 부동산금융 규모가 4조1000억원가량이고, 지난해 4·4분기 1300억원가량의 손실을 반영했지만 향후 손실 가능성 크기는 제한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같이 금융지주가 해외투자 관리방안을 마련해 내부지침으로 사용하려는 이유는 국내외 규제와 회계규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규제를 모두 적용받는 해외투자의 개별 리스크 양을 측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같은 투자 건도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나 대손충당금 적립액 등을 산정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신한금융은 이번 컨설팅 과정에서 경영진 보고체계와 의사결정 구조도 손질할 방침이다.

우리금융도 지난해 12월 리스크 관리방안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해외 상업용 부동산 관련 대출과 투자 모두 보수적으로 취급한다는 취지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 말까지 해외 상업용 부동산 리스크 관리조치를 강화해 시행했다. 월별 위기대응협의회, 경영협의회를 통해 자산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 또한 모니터링 빈도를 높여 기존 사업장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다. 다만 신한은행을 제외한 국민·하나·우리·농협은행은 아직까지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컨설팅 계획은 없는 상태다. 은행연합회 등 협회 차원의 공동용역 발주나 공동대응도 현재까지 구체화된 것은 없다.

현재 코로나19 이후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타지 못하면서 손실은 불어나고 있다. 특히 북미 지역 해외 부동산 투자 및 대출 건의 건전성이 악화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우리와 북미 지역 부동산 시장은 특성이 다르다"면서 "코로나19를 계기로 늘어난 재택근무가 줄어들지 않고 있고, 이로 인해 공실률이 높은 건물 가격이 빠르게 하락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은 강남, 여의도, 광화문 등 이른바 오피스 입지의 공실률이 떨어져도 건물 가격이 고정되어 있는 반면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지역은 공실률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이다.

한편 본지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만기 도래하는 주요 시중은행신한은행 제외의 해외 부동산 투자잔액은 총 7조2754억원으로 국민은행이 4조3098억원, 하나은행이 2조4755억원, 우리은행과 농협은행은 각각 1978억6000만원과 2922억원으로 나타났다.



mj@fnnews.com 박문수 김나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갑자기 사라졌던 최홍만 반전 근황 "산에서.."
아파트에서 부패된 시신 2구 발견, 둘 관계 알고보니..
1433명이 "이혼해라" 충고, 아내의 곰국 문자 화제
원룸서 숨진 채 발견된 40대 여성, 시신 살펴보니..
손흥민 손가락 탈구 다음날에 탁구 3인방은..소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05
어제
913
최대
2,563
전체
421,66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