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큰일이네, 30%나 올랐다고?"…새집 분양 기다리는데 어쩌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이거 큰일이네, 30%나 올랐다고?"…새집 분양 기다리는데 어쩌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1회 작성일 23-07-13 06:51

본문

뉴스 기사
올 평당분양가 1908만원
지난해보다 200만원 올라
분양가 6억 이하 14% 줄어


quot;이거 큰일이네, 30%나 올랐다고?quot;…새집 분양 기다리는데 어쩌나


민간분양 아파트의 분양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여파로 자재가격이 급등한 데다 정부의 규제완화로 서울 일부를 제외한 전국이 분양가상한제 지역에서 해제된 영향이다.

12일 부동산R114가 올해 들어 지난 6일까지 분양한 민간분양 아파트의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3.3㎡당공급면적 기준 평균 분양가는 1908만원으로 나타났다. 불과 2년 만에 약 30.1% 상승한 가격이다. 2021년 민간분양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1467만원이었다. 지난해엔 3.3㎡당 1729만원이었다.

news-p.v1.20230712.d7bdcd59a6cd4d8d89a3ddf82d78e1b8_P3.jpg


중저가로 분류되는 분양가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도 크게 줄었다. 2021년까지만해도 분양가 6억원 이하 아파트는 전체 민간분양 아파트의 90.5%를 차지했다. 9억원 이하로 범위를 넓히면 97.6%였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6억원 이하 비중은 72%로 확 떨어졌다. 9억원 이하도 91.3%다.

분양가 상승 원인으로는 공사비 인상과 분양가상한제 해제가 꼽힌다. 지난해 발생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여파로 아파트 공사의 핵심 자재인 철근과 시멘트 가격이 급등했다.

철근의 경우 2021년 초만해도 톤당 70만원대였지만 지난해 100만원을 돌파했고 최근 시세도 90만원 후반대다. 시멘트가격 역시 2021년 1월 톤당 7만5000원이었던 게 이달 기준 12만원까지 올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발표하는 건설공사비지수 중 주거용건물 공사비지수는 2021년 1월 123.84에서 지난 5월잠정 150.29까지 올랐다.

분양가상한제가 풀리면서 시행사, 정비사업 조합 등 사업주체가 분양가를 이전보다 자유롭게 책정할 수 있게된 것도 한몫한다. 올해 초 1·3대책 이후 분양가상한제 지역은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밖에 남지 않았다.

최근 서울의 경우 핵심입지가 아닌 곳들도 3.3㎡당 분양가가 3000만원을 넘기고 있다. 전날 1순위 청약을 받은 동대문구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의 경우 3.3㎡당 분양가는 3417만원이었다. 지난 3월 분양한 영등포구 영등포 자이디그니티의 경우 분양가상한제 하에 심사받은 가격 그대로 분양했는데 3.3㎡당 3473만원이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가격 부담이 커진 만큼 이를 상쇄할만한 매력이 큰 아파트로의 선별청약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소득 및 자산 수준이 낮은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공공분양, 사전청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전망”이라고 했다.

‘코빅’ 30세 개그우먼 이지수 사망...동료들 깊은 충격

우리 동네 부자될 줄 알았는데…수백억 들인 케이블카, 적자에 허덕

고발당한 이해찬 “원희룡 지가 뭔데, 같잖다 정말…탄핵해야”

“불륜 남편 0원”…극단선택 유명 女가수, 1600억 유산 이 사람 줬다

‘술 먹다가·졸다가’ 잘못 보낸 돈 2년간 385억원…회수 가능할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95
어제
913
최대
2,563
전체
421,65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