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 공정효율 강화···CDMO 초격차 굳히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삼바, 공정효율 강화···CDMO 초격차 굳히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6회 작성일 23-08-31 18:37

본문

뉴스 기사
MSAT조직 재배치로 공정 효율 높여;고객사에 기술이전 받아 공정 최적화

삼바, 공정효율 강화···CDMO 초격차 굳히기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전경.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서울경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최근 조직 개편을 통해 공정 개발을 담당하는 ‘MSATManufacturing Science and Tehcnology’ 인력을 각 공장 사정에 맞춰 재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 부진에도 반기 최대 실적을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공정 효율성을 끌어올려 ‘초격차’ 굳히기에 나섰다는 평가다.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 대응해 수주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리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존 3공장에 있던 MSAT 인력을 각 공장의 ‘TTTech Transfer’ 역할을 담당하도록 조직 개편을 단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TT조직은 위탁생산CMO 고객사와 컨택하는 일을 담당한다. 고객사의 기술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각 플랜트 사정에 맞게 공정을 개발하는 역할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기존에 한 곳에 집중돼 있던 MSAT 조직을 각 공장에 재배치한 이유는 현장 사정을 파악해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개편은 각 공장의 효율성을 한 층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구개발Ramp;D 혁신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통상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Ramp;D 인력은 신약을 개발하는데 투입된다. 반면 CDMO 기업에서 Ramp;D의 역할은 공정 기술 분야에 해당된다. 바이오의약품 CMO 계약 단계부터 고객사의 제품 기술을 이전받아 특징에 맞게 가장 최적화된 공정을 개발하고 품질까지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계약-생산-공급으로 이어지는 CMO 프로세스를 총괄하는 조직으로 규모 뿐만 아니라 축적된 노하우를 갖춰야만 고객사가 믿고 생산을 맡길 수 있다.


글로벌 CDMO 시장은 유망한 만큼 갈수록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스위스 론자는 지난해 4조 82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대비 21.7% 증가한 수치다. 론자는 신규 모달리티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지난해 115개 신규 고객과 약 375개 신규 임상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중국의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전년 대비 48.4% 증가한 2조 78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글로벌 CDMO 시장 규모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14.1% 성장해 26조 93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CDMO 시장은 연평균 15%씩 성장해 2028년 63조 원에 달할 전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은 올해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36% 늘어난 1조 5871억 원, 영업이익은 29% 증가한 4452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써내며 연간 최대 실적 경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올해 누주 수주금액은 2조 3387억 원으로 반년 만에 2조 원을 돌파했다.

김병준 기자 econ_jun@sedaily.com

[서울경제 관련뉴스]
[단독] “한 남성이 권총 가지고 다녀” 신고에 군부대까지 출동··· 알고보니 ‘장난감’
지난해 아동학대 사망 아동 50명···가해자 85.8%는 가족
추석 6일 황금연휴 확정···숙박쿠폰 60만장 뿌린다
밥솥 광고 등장한 김연아, 섭외 일등공신은 이 남자였다
이번엔 아파트 9층서···"올라오는 사람 죽이겠다" 협박한 50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03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75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