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객은 봉?…광고인데 아닌 척 한국법 무시 알리·테무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한국고객은 봉?…광고인데 아닌 척 한국법 무시 알리·테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4-02-18 07:31

본문

뉴스 기사
앱 접근 권한 고지규정도 위반…중국으로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해외 이커머스 사업자 불법영업 규제 법적 근거 필요"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초저가를 무기로 국내 시장을 무섭게 파고드는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들이 국내에서 영업하면서 관련 법을 지키지 않는다는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을 통해 규정에 어긋나는 광고를 상습적으로 발송하는가 하면 개인정보 침해 문제에도 둔감하다는 지적이 많다.

1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 알리바바그룹 이커머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최근까지 광고라고 표기하지 않고 광고성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나 앱 푸시, 이메일 등을 보낸 것으로 파악됐다.

두 업체가 내보낸 내용을 보면 명백한 광고성 글이지만 광고라고 안내하는 표시는 찾아보기 어렵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50조과 그 시행령제61조에선 전자적 전송매체를 이용해 영리 목적의 광고성 정보를 전송하려면 정보가 시작되는 부분에 광고라고 표시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했다.

실제 국내 일부 이커머스 업체는 광고 표시 없이 광고성 앱 푸시를 보냈다가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례가 있다.


한국고객은 봉?…광고인데 아닌 척 한국법 무시 알리·테무

이에 더해 테무는 앱을 설치·실행할 때 스마트폰 앱 접근 권한 고지도 안 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상 온라인쇼핑몰 앱을 내려받아 실행하면 가장 먼저 앱 접근 권한 관련 페이지가 표출된다.

서비스 제공을 위해 쇼핑 혜택·이벤트 관련 알림이나 카메라, 사진·미디어·파일, 위치정보 등에 대한 접근 권한 허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리고 이용자가 허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필수 허용 항목은 없으며 설사 일부 기능을 허용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이용에 큰 지장은 없다.

앱 접근 권한 고지 역시 정보통신망법제22조의2상 의무 사항이다.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 또는 기존에 설정된 기능에 무분별하게 접근해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침해를 차단하려는 목적이다.


AKR20240216143000030_01_i.jpg

실제 국내 유통업계에선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같은 중국계 이커머스를 이용할 때 개인정보가 중국 현지 판매자에게 넘어가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등의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들 업체가 해묵은 이슈인 짝퉁가품 논란 외에 온라인쇼핑몰에서 팔아서는 안 되는 의약품이나 사람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무기류 등을 버젓이 판매하고 있다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문제는 이러한 중국계 온라인쇼핑몰이 국내 법을 어겨도 제재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거대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 남용 행위를 막고자 제정을 추진해온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이 이런 법적 공백을 메울 새로운 규제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업계 반발로 무기한 연기된 상황이다.

한국소비자연맹 정지연 사무총장은 "해외 이커머스 사업자의 불법 영업 행위를 규제할 법적 근거가 없다"며 "이들 업체가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영업할 경우 관련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가 발생하면 후속 조처를 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을 정비해야 한다"고 짚었다.


PYH2023120605800001300_P2.jpg알리익스프레스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한국대표가 6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알리익스프레스 지적재산권 및 소비자 보호 강화 발표를 하고 있다. 2023.12.6 mjkang@yna.co.kr

국내에서 초저가 물량 공세에 나선 중국계 이커머스 이용자 수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알리익스프레스 앱 사용자 수는 717만5천명으로 지난해 1월336만4천명보다 113% 급증했다.

테무 앱 이용자 수도 지난해 8월 52만명에서 지난달 570만9천명으로 10배 이상 늘었다.

이용자 증가 추이만 봐도 알리와 테무가 지난해부터 국내 이커머스 시장 침투를 본격화했다는 게 드러난다.

덩달아 소비자 피해 신고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연맹에 접수된 알리익스프레스 관련 소비자 불만 건수는 465건으로 전년93건 대비 5배로 늘었다.

배송 지연, 오배송, 상품 누락, 배송 중 분실을 포함한 계약불이행이 226건49%으로 가장 많았고 계약해제·해지 이후 환불 거부 등이 143건31%, 가품이나 제품 불량·파손과 같은 품질 불만이 82건18% 각각 집계됐다.

lucho@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韓 탁구게이트 아르헨서도 입방아…"손흥민을? 믿을 수 없어"
일본 홀린 당돌한 K-연하남…국경 허무는 스타들
나발니 마지막 게시물은 아내에게 보내는 밸런타인 사랑 메시지
인천 아파트서 불…10살 남아와 강아지 함께 구조
"유동규 차량이 1.8초 뒤 진입"…경찰, 화물차 사고 종결
"서울서 열린 일왕 행사서 日국가 연주·후쿠시마산 청주 제공"
[OK!제보] 한입 먹은거 같은데…튀김 반죽 잘못이라고
10대 남학생 4개월간 성추행한 30대 학원강사 집행유예
채팅서 의문의 은어·물음표…마약 함께할 사람 찾은 30대 집유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08
어제
913
최대
2,563
전체
421,56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