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가족친화기업에서 아이 더 많이 낳았다[K인구전략]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단독]가족친화기업에서 아이 더 많이 낳았다[K인구전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4-02-06 13:01

본문

뉴스 기사
32여가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분석 자료
인증기업, 출산휴가자비율 1.4%P 높아
여성 고용유지율도 54.3%P 격차

편집자주대한민국 인구 문제 해결의 실마리는 기업에 있다. 남녀 구분 없이 일로 평가하는 기업 내 분위기와 가정 친화적인 문화가 곧 K인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이기 때문이다. 저출산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지만, 적어도 일터에서의 부담감이 걸림돌이 돼 아이 낳기를 주저하는 일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시아경제는 가족친화정책을 선도하는 기업을 찾아가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던 지점을 짚고, 현실적인 여건이 따라주지 못하는 기업과는 다각도에서 함께 방법을 찾아볼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부터 변하도록 독려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도 분석한다. 금전적 지원보다 심리적 부채감을 줄여주는 회사의 문화와 분위기가 핵심이라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대안을 제시한다.

‘가족친화인증기업’ 근로자가 일반 기업에 비해 아이를 더 많이 낳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족친화인증을 통과한 기업의 여성 출산휴가자 비율이 미인증기업에 비해 1.4%포인트 높았다. 출산휴가를 낸 여성 직원 수를 통해 해당 해에 태어난 여성 직원 아이 수를 유추할 수 있다. 육아휴직을 상대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복귀 후에도 안정적으로 업무할 수 있는 제도와 분위기를 갖추는 것이 K인구문제 해결의 단초라는 점이 입증된 셈이다.


[단독]가족친화기업에서 아이 더 많이 낳았다[K인구전략]

아시아경제가 6일 여성가족부를 통해 입수한 ‘가족친화인증의 효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가족친화인증을 통과한 기업의 여성 출산휴가자 비율은 미인증기업에 비해 1.4%포인트까지 더 높았다. 이는 최근 여가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을 통해 자체 진행 중인 연구로, 2020~2022년 3개년의 가족친화인증기업 446개와 미인증기업 1071개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여성관리자패널 사업체의 인사담당자 604명·근로자 5011명 조사.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가임기 여성 근로자를 기준으로 출산 휴가를 간 비율을 따져봤을 때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미인증기업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며 "기업별로 여성대표 여부·정규직 비율·사업장 규모 등 기업 출산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통제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많아질수록 문화가 바뀌면서 남녀 모두에게 일·가정 양립이 체화돼 출산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1.5%포인트까지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 장관은 올해 중소기업 가족친화인증기업을 4만개까지 늘리는 것을 여가부의 핵심 과제로 삼았다. 관련기사 : "가족친화 中企 겨우 1%…진입장벽 낮춰 10%로 확대"[K인구전략]


ae_1707194584758_673280_1.jpg

ae_1707194584760_450417_3.jpg

가족친화인증기업에서는 육아휴직도 보다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인증기업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비율은 미인증기업보다 여성 2.8%포인트, 남성 1.0%포인트 각각 더 높았다. 근로자들의 인식 역시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가족친화제도 활용이 쉽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인증기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인증기업은 육아휴직 실제 사용률, 근로자 인식뿐 아니라 복귀 후 고용유지율도 월등히 높았다. 이는 인재 채용과 근속을 위해 큰 비용을 들이는 각 기업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다. 본지가 여가부에 의뢰해 지난해 가족친화인증을 통과한 2183개사의 여성 육아휴직 후 복귀율고용유지율을 확인한 결과, 전체 평균이 82.7%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해 발표된 여가부 ‘2022년 경력단절 실태조사’에 나타난 전국 만 25~54세 여성 육아휴직 후 고용유지율인 54.3%보다 28.4%포인트 높은 수치다. 대기업의 육아휴직 후 복귀율은 81.0%, 중소기업은 79.1%, 공공기관은 91.7%였다.


ae_1707194584759_290751_2.jpg

김 장관은 "가족친화인증기업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사용이 더 자유롭지만, 미인증기업들에 비해 생산성이나 기업성과가 낮지 않다는 것은 연구 결과로도 뒷받침돼 있다"며 "올해 여가부는 가족친화인증기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일·가정 양립의 선순환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K인구전략-양성평등이 답이다
김유리·이현주·정현진·부애리·공병선·박준이·송승섭 기자
김필수 경제금융에디터
ae_1707194584795_966899_4.jpg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관련기사]
배우 최강희 못알아보니 섭섭해…설거지 이어 새로운 도전
태진아, 치매 걸린 아내 옥경이에 눈시울 붉히며 간청한 사연
아시안컵 충격 탈락후…日매체 "요르단 결승 가능성" 경고
혼전임신설 딛고…이승기·이다인 부부 득녀 소식 전해
예비신랑과 명동성당 찾은 조민, 번호표 260번 받고 기다린 이유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방금 본 단어, 낯설었다면? 뉴스 속 용어 바로 알기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39
어제
1,279
최대
2,563
전체
435,30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