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값 내린다 르노코리아의 결단…가성비로 승부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차값 내린다 르노코리아의 결단…가성비로 승부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5회 작성일 23-08-31 18:01

본문

뉴스 기사
QM6 LPG 최대 195만원 인하
올해 신차 없는 르노코리아
가성비 전략으로 내수 시장 돌파구
내년 하반기 하이브리드 SUV 신차 양산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이 8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광장에 마련된 르노 시티 로드쇼 전시 및 시승존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이 8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광장에 마련된 르노 시티 로드쇼 전시 및 시승존에서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파이낸셜뉴스] 르노코리아자동차가 내수 판매 회복을 위해 주력 차종의 가격을 전격 인하한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내수 시장에서 반등을 모색하겠다는 전략이다.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은 8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르노코리아 익스피리언스 기자간담회에서 밸류업가성비을 강조하며 가격 인하 계획을 밝혔다. 올해 신차가 없는 르노코리아 입장에선 내수 시장에서 점유율 반전을 노리기 위해 판매가격을 인하하는 강수를 던진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QM6 액화석유가스LPG 모델의 경우 9월부터 LE 트림의 판매 시작가를 91만원, RE 트림은 195만원 내린다. 이에 따라 두 차량의 판매 가격은 각각 2840만원, 3170만원으로 떨어지게 됐다. 또 소규모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만든 QM6 퀘스트의 경우 밴 트림을 내놓고 판매 시작가를 185만원 인하해 시작가를 2495만원까지 낮췄다. XM3의 경우에는 첨단 사양을 기본으로 탑재한 XM3 1.6 GTe 인스파이어를 신설해 2680만원에 내놓는다. 다양한 사양을 대거 탑재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뒀다. 드블레즈 사장은 "가격과 성능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잘 조율했다. 약간의 수정을 거쳐 가격을 낮추면서도 동일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이 8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르노코리아 익스피리언스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스테판 드블레즈 르노코리아 사장이 8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르노코리아 익스피리언스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르노코리아 제공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완성차 업체가 차량 가격을 내리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 만큼 내수 판매 확대가 절실하다는 방증이다. 르노코리아의 내수 실적은 최근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 2017년만 하더라도 내수 판매 규모가 10만대를 웃돌았지만, 2021년엔 6만1096대, 작년에는 5만2621대까지 줄었다. 르노코리아는 가성비 전략을 앞세워 내수 시장을 반등시키고, 내년부터는 신형 하이브리드카프로젝트명 오로라1로 재도약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르노코리아는 볼보 플랫폼 기반의 중형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SUV를 내년 하반기부터 부산공장에서 본격 양산할 예정이다. 2025년에는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CUV 형태의 신형 하이브리드 모델도 선보일 방침이다. 드블레즈 사장은 "한국 자동차 시장은 국내 완성차 업체가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하고 있는 어려운 시장이지만, 경쟁이 심화됐다는 것은 좋은 경쟁자들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내수 뿐만 아니라 수출 확대를 위해서도 고삐를 죈다. 그는"한국에서는 수출 시장을 확보하지 못하는 기업은 생존하기 어렵다"며 "미래 프로젝트에서 수출 물량에 대한 계획을 항상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노사관계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과거 노사관계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원만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차 양산 시점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앞서 르노그룹은 부산공장에 연산 20만대 전기차 생산 시설을 갖추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드블레즈 사장은 "현재 투자 실행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면서 "아직 생산 시작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고, 배터리 수급은 한국 기업이든 외국 기업이든 모든 업체들과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김종인, 의미심장 예언 "尹, 나머지 임기 3년은 굉장히..."
환자 항문에 손 넣어 꼬리뼈를... 물리치료사의 시도
몸매 1위 아이돌 탈퇴 후 근황 "시급 1만원 받고..."
인천 모텔 7층서 20대 여성 추락, 일행 남녀가...소름
교도소 생활 총 29년 8개월... 전과 23범 60대 근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15
어제
1,161
최대
2,563
전체
424,91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