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기업 17만개 돌파…매출·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3-30 13:13 조회 3 댓글 0본문
장애인이 대표자인 장애인기업 수가 꾸준히 증가해 2023년 17만개를 돌파했다. 하지만 이들의 총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9∼12월 전국 장애인기업 5000곳을 대상으로 한 ‘2023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장애인기업은 17만4344개로 전년보다 5.9% 증가했다.
장애인기업의 총매출액은 69조6601억원으로 7.3%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6조5326억원으로 14.3% 줄었다.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4억원으로 소상공인은 2억5400만원, 중소기업은 20억9400만원이었다.
평균 영업이익은 3700만원으로 소상공인은 3000만원, 중소기업은 1억2700만원으로 조사됐다.
장애인기업 중 46.7%는 부채가 있으며 부채총액은 31조9000억원으로 기업당 평균 부채액은 1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대표자의 장애 유형은 지체장애가 69.1%였고 시각장애 10.3%, 청각장애 7.9%였으며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증장애가 83.1%였다.
전체 종사자 수는 57만8천280명으로 6.1% 증가했다. 전체 종사자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31.8%를 차지했다.
장애인기업 중 소상공인은 16만569개로 92.1%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은 1만3775개로 7.9% 수준이었다. 전년보다 소상공인 비율은 7.9% 증가하고 중소기업은 13.5%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이 29.7%로 가장 많고 이어 제조업15.5%, 숙박·음식점업15.2% 순이었다.
장애인기업이 희망하는 지원정책으로는 금융이 63.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세제54.8%, 판로37.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기업의 성장단계에 맞춘 맞춤형 지원정책을 한층 강화해 장애인기업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은 피고발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30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9∼12월 전국 장애인기업 5000곳을 대상으로 한 ‘2023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장애인기업은 17만4344개로 전년보다 5.9% 증가했다.
![]() |
중소벤처기업부 세종 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
평균 영업이익은 3700만원으로 소상공인은 3000만원, 중소기업은 1억2700만원으로 조사됐다.
장애인기업 중 46.7%는 부채가 있으며 부채총액은 31조9000억원으로 기업당 평균 부채액은 1억8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대표자의 장애 유형은 지체장애가 69.1%였고 시각장애 10.3%, 청각장애 7.9%였으며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증장애가 83.1%였다.
전체 종사자 수는 57만8천280명으로 6.1% 증가했다. 전체 종사자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31.8%를 차지했다.
장애인기업 중 소상공인은 16만569개로 92.1%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은 1만3775개로 7.9% 수준이었다. 전년보다 소상공인 비율은 7.9% 증가하고 중소기업은 13.5%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이 29.7%로 가장 많고 이어 제조업15.5%, 숙박·음식점업15.2% 순이었다.
장애인기업이 희망하는 지원정책으로는 금융이 63.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세제54.8%, 판로37.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기업의 성장단계에 맞춘 맞춤형 지원정책을 한층 강화해 장애인기업 자립 기반 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은 피고발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