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지원금 1억은 확산될 수 있을까…현실은 평균 68만 원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출산지원금 1억은 확산될 수 있을까…현실은 평균 68만 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8회 작성일 24-02-18 17:31

본문

뉴스 기사
"상당수 기업 10만 원도 못 줘"
출산지원금 근로 소득으로 규정
부영에 대해선 분할과세 등 검토
출산지원금 1억은 확산될 수 있을까…현실은 평균 68만 원


"다들 부영이 자녀 계좌에 1억 원 꽂아준대. 대박!이라고 하는데, 솔직히 저렇게 줄 수 있는 회사가 얼마나 있을까 싶어요. 저희는 50만 원인데 육아지원도 부익부빈익빈이라니 좀 씁쓸하기도 하고요."
수도권 소재 한 중소기업에 다니는 A37씨

부영그룹에 이어 사모펀드 IMM 등 거액의 출산장려금을 주는 회사가 속속 등장하며 기업의 출산장려금에 대한 세제혜택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지만, 실제 현실과는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도 다른 출산장려 혜택과의 형평성 문제 등을 고려해 세제혜택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비과세 10만 원도 못 채우는 기업 다수

18일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2022년 귀속 근로소득 중 비과세 출산보육수당을 신고한 근로자는 47만2,380명, 총신고액은 3,207억 원이었다. 1인당으로 환산하면 비과세 수당은 평균 67만9,000원에 그친다. 연간 비과세 한도2022년 기준 120만 원의 절반을 간신히 넘긴 수준이다.

출산보육수당은 기업이 직원·배우자의 출산이나 6세 이하 자녀 보육을 위해 지원하는 수당이다. 지난해까지는 월 1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었다. 국세청은 연말 소득세 계산 시 출산지원금 등을 다른 상여금처럼 근로소득으로 계산하는데, 올해부터 출산보육수당에 대해선 월 20만 원까지는 세금을 물리지 않는다.

전체 비과세 소득에서 출산보육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7.87%를 기록했다. 2017년 8%대로 올라간 뒤 6년 만에 다시 떨어졌다. 정부 관계자는 "전체 통계를 봐야겠지만, 최근 심화된 저출산 현상 영향으로 출산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 것 같다"며 "지금도 비과세 한도인 10만 원보다 지원금을 적게 주는 기업도 많다"고 말했다.

기재부 "출산지원금 성격은 근로소득"

30cee17d-99f3-43c2-9b5c-21952bdafe51.jpg

기재부는 출산지원금 성격이 근로소득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실제 그간 기업의 출산장려금은 상여금근로소득 성격으로 취급돼왔다. 정정훈 기재부 세제실장은 16일 기자들과 만나 "기업이 직원가족 포함에게 돈을 줬다면 명분이 체력단련비든 명절 수당이든 기본적으로 근로소득"이라며 "직원 자녀에게 1억 원을 준 부영에 대해선 실질과세 원칙에 따라 해석해야 할 문제로 증여나 근로소득이냐를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처럼 출산장려금을 근로소득으로 계산할 경우, 부영 직원들의 과세표준 구간이 올라가 더 높은 소득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세제 혜택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과 배치된다. 이에 기재부는 분할 과세 방식 등 다양한 방안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저울질 중이다. 분할 과세는 출산지원금을 여러 해에 걸쳐 과세하는 방식으로, 과세표준 구간을 낮춰 수혜 직원의 세부담이 줄어든다.

또 출산장려금의 비과세 한도를 높이는 방안도 거론된다. 다만 상당수 기업의 출산보육수당이 현재도 비과세 한도에 한참 못 미치는 데다, 현금성 출산장려금이 아닌 다른 혜택을 제공하는 기업과의 형평성 문제가 걸림돌이다. 특정 기업이나 일부만을 위한 특혜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내달 초 출산지원금 세제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올해 지급한 기업들에 소급 적용할 방침이다.

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관련기사
- 반년 준비한 수술까지 미루다니... 의료공백 현실화 초읽기
- 학생들 살해 협박 시달리다 방검복 입고 출근한 교사
- 尹 건국전쟁, 文 택시운전사… 정치에 이용된 영화들
- 영아 냉동실에 유기한 베트남 母… 韓 남편 내 아이 아냐
- 번식장 전전…출산·미용 실습에도 새끼 지켜낸 엄마 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370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34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