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서 안 나간 미분양 800가구, 갑자기 팔렸다는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비싸서 안 나간 미분양 800가구, 갑자기 팔렸다는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7회 작성일 23-07-04 03:03

본문

뉴스 기사
공사비 치솟자 기존 분양권 인기… 새 아파트 품귀까지 겹쳐, 미분양 아파트도 빠르게 소진

경기 안양시 ‘평촌 센텀퍼스트’는 최근 분양 시장에서 가장 이슈가 된 단지다. 지난 1월 분양 당시 3.3㎡1평당 3200만원으로 책정된 분양가가 논란이 되며 청약 경쟁률이 0.3대1에 그쳤다. 미분양 물량이 800가구에 달했다. 조합은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 분양가를 10% 낮췄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 하지만 최근 주변에서 분양된 다른 아파트들의 분양가가 평당 3000만원을 훌쩍 넘어서자 센텀퍼스트의 가격이 오히려 매력적이라는 인식이 퍼졌고, 지금은 95%가 팔렸다.

올봄 이사철을 기점으로 집값 하락세가 진정되고 공사비 증가 여파로 아파트 분양가가 치솟자 과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분양됐던 아파트 분양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애초 고분양가 논란 탓에 청약 흥행에 실패했던 아파트의 미분양 물량이 빠른 속도로 소진되고, 일부 단지는 분양권에 수억원 웃돈이 붙어 팔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건설사들이 공사비 증가와 불확실한 경기 전망을 이유로 아파트 분양을 미루면서 주택 수요자들 사이에서 ‘분양가, 분양권은 오늘이 가장 싸다’는 심리가 확산하는 것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공사비 급등이 낳은 분양권 시장의 씁쓸한 호황”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공사비 급등에 미분양 아파트 반사이익

미분양 아파트 분양권의 인기가 갑자기 치솟는 현상은 다른 단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작년 9월 분양을 시작해 올 1분기까지만 해도 미분양을 해소하지 못해 골머리를 앓던 의왕시 ‘인덕원자이SK뷰’도 최근 일부 소형 평형을 제외하고는 계약이 마무리됐다. 분양 관계자는 “분양 시작 때에 비해 주변 집값이 많이 회복됐고, 이후 분양된 다른 아파트들이 높은 공사비 때문에 분양가를 더 높게 책정하면서 5월부터 분양권 매수 문의가 크게 늘었다”고 했다. 인근에서 영업 중인 한 공인중개사는 “서울과 인접한 경기 남부 지역에선 평당 3000만원이 더 이상 비싼 가격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올해 4월부터 분양권 전매 규제를 완화하면서 서울에선 개인 간 분양권 거래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1월 20건이던 분양권 거래량은 5월 79건으로 4배가 됐다. 서울은 일부 조합원 물량을 제외하고는 분양권 전매가 금지됐기 때문에 작년 5월 거래량은 5건에 불과했다.

일부 단지는 분양권에 거액의 웃돈프리미엄도 붙었다. 작년 12월 청약 당시 높은 분양가가 논란이 됐던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 전용면적 84㎡ 분양권은 연초 15억원대였지만 지난달 18억5600만원에 팔렸다. 분양가보다는 5억원 정도 비싸다. 지난해 집값 급락 직격탄을 맞으며 분양권이 분양가보다 낮은 가격에 팔리는 ‘마이너스피’ 거래가 속출했던 인천 송도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확인된다. ‘더샵송도센터니얼’ 84㎡는 지난 2월만 해도 분양가7억9000만원보다 낮은 7억4039만원에 거래됐지만 5월에는 8억4413만원에 팔렸다.

그래픽=김현국

그래픽=김현국

◇분양은 줄줄이 밀려… ”공급 절벽 우려”

주택 수요자들이 분양권을 찾는 것은 신규 아파트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 부동산 플랫폼 직방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1일 집계한 6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3만7733가구였는데 실제 분양된 것은 9766가구26%에 그쳤다. 5월에도 예정된 물량의 22%인 6765가구만 공급됐다. 보통 전국에서 매달 아파트 3만~4만 가구 정도 공급됐던 것을 감안하면 턱없이 적은 물량이다. 이달에도 2만5660가구가 분양 예정이지만, 절반 이상이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원자재 값 상승과 건설 경기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들이 분양 시점을 못 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양지영 Ramp;C연구소장은 “아파트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장기화하면 결국엔 집값, 전·월세가 오르면서 주택 실수요자나 세입자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며 “민간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공공 물량이라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건설 자재 관련 기업이나 금융권에서 주택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과도한 이익을 취하고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정순우 기자 snoopy@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02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5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