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삼성 반도체 보조금 6조9000억원 확정…원안 대비 26%↓
페이지 정보

본문
美 상무부 “삼성의 미국 내 53조원 규모 시설투자 지원에 사용”
![]() |
삼성전자 미국 오스틴 공장 내부 클린룸 [삼성전자 제공] |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미국 정부가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 지급할 보조금 관련 47억4500만 달러약 6조9000억원로 최종 결정됐다.
이는 양측이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를 서명할 때 발표한 64억 달러약 9조2000억원에 비해 약 26% 감액된 것이다.
미국 상무부는 20일현지시간 예비거래각서 체결과 부처 차원의 실사 완료에 이어 반도체법에 의거해 이 같은 보조금을 삼성전자에 직접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삼성이 향후 수년간 370억 달러약 53조원 이상을 투자해 텍사스주 중부에 위치한 현재의 반도체 생산 시설을 미국내 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의 종합적 생태계로 만드는 것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고 상무부는 설명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삼성에 대한 이번 투자로 미국은 세계 5대 최첨단 반도체 제조업체가 모두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됐다”고 밝혔다.
러몬도 장관은 이어 “이는 인공지능AI과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최첨단 반도체의 안정적인 국내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수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PMT 서명 당시 삼성전자는 현재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 달러를 투자해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의 규모와 투자 대상을 확대해 오는 2030년까지 총 4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었다.
결국 4월 당시의 투자계획 대비 삼성의 시설투자 규모는 7.5%30억 달러 줄어 들었고, 미국 정부의 보조금 액수는 그보다 큰 폭으로 하락예비각서 대비한 것이다.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액수가 줄어든 것에는 외자유치를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거액 보조금 정책에 비판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내달 20일 취임하는 상황이 변수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삼성전자는 2022년부터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반도체 생산 공장에 추가로 새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패키징 시설과 함께 첨단 연구개발Ramp;D 시설을 신축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지난달 5일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승리하면서 정권 교체가 결정되자 바이든 행정부는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총액 390억 달러의 보조금을 신속히 집행하기 위해 해당 기업들과의 협상에 속도를 내왔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전날 반도체법에 따라 SK하이닉스에 최대 4억5800만 달러약 6600억원의 직접 보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 인기기사 ]
▶ “새벽2시, 전여친이 보고싶어요” 이런 사람 많더니…‘국민 메신저’ 대박
관련링크
- 이전글"없어서 못 판다"…4년 만에 나온 SUV 신차 뭐길래 돌풍 24.12.21
- 다음글영화 소방관 돌풍 속…"그대들이 영웅" 현대차그룹 지원도 재조명 24.12.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