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출근 싫으면 그만둬"…재택금지령 美 기업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아마존 "출근 싫으면 그만둬"…재택금지령 美 기업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1회 작성일 23-08-31 21:01

본문

뉴스 기사
- 아마존 주 3일 출근 압박…"안 따르면 떠나야"
- 구글 인사 불이익 경고…월가도 사무실 출근령
- 원격근무 상징 줌 마저 "최소 주 2회 출근" 전환
- 기업들은 생산성 하락 우려…직원들은 불만 가득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출근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면 회사를 떠나야 할 수도 있다.”

30일현지시간 외신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가 ‘해고’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직원들의 근태를 꼬집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 CEO가 강경 발언을 통해 출근을 압박하고 나선 것은 코로나19 기간 해오던 재택근무를 종료를 선언하고 지난 5월부터 직원들에게 주 3일 ‘사무실 출근령’을 내렸지만, 잘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아마존 quot;출근 싫으면 그만둬quot;…재택금지령 美 기업들
사진=게티이미지
출근을 압박하고 나선 건 아마존만의 일이 아니다. 구글과 메타, 애플 등 빅테크 기업을 시작으로 골드만삭스 등 월가를 비롯해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구글은 지난해 4월부터 시행한 주 3일 출근이 지켜지지 않자 지난 6월에 인사 고과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주 5일 출근을 회사 방침으로 정하고 이를 어기는 직원들 단속에 나섰다. 씨티그룹은 주 3일 출근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급여 삭감 등 불이익을 경고했고, JP모건체이스는 지난 4월 관리자급 직원은 주중에 매일 사무실로 출근하라고 명령했다. 심지어 ‘원격근무’의 상징과도 같던 화상회의 플랫폼 기업 ‘줌’ZOOM 마저도 이달 초 최소 주 2회 출근을 공지하는 등 사무실 복귀령 대열에 합류한 것은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기업들의 재택근무 종료 선언의 밑바탕에는 사무실에 출근한 직원보다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기저에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 당시에는 불가피하게 유연근무를 허용한 경영진들은 재택근무는 기업 성과에 부정적이라고 결론을 내린 모양새다. 재시 아마존 CEO는 “직원들이 서로 배우고 협력해야 회사 문화와 직원의 능력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는 “20대 등 젊은 직원들은 출근해서 업무를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장 근무를 중시하며 테슬라 직원들의 100% 사무실 출근을 추진한 일론 머스크 CEO는 “단순한 생산성 문제가 아니라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재택근무에 날선 반응을 보였다.

실제 관련 조사결과도 나왔는데 블룸버그는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대UCLA 경제학자들이 한 연구를 인용해 재택근무를 하는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보다 18%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인도에서 신규 고용된 인력으로 재택 근무자와 사무실 근로자는 학습 속도에 차이를 보였고, 생산성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커졌다.

회사의 출근 채찍질에 직원들 불만은 가득하다. 지난 5월 아마존 직원 1000명은 “주 3일 출근은 경직되고 획일적인 명령”이라며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또 출퇴근길에서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 더 비효율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글로벌 HR 기업 딜은 아울랩스의 설문조사를 인용해 근로자 62%가 재택근무을 더 생산적으로 느낀다고 전했다. 여기에 MZ세대를 중심으로 개개인의 삶을 우선시하고 높은 연봉보다 워라밸일과 업무 사이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한몫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미국의 넓은 영토도 변수다. 집값이나 물가가 저렴한 교외에 살아 출퇴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도 사무실 복귀를 느리게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부동산업체 JLL 자료를 인용해 미국 사무실 점유율은 코로나 이전의 40~60%에 그친다고 보도했다. 70~90%인 유럽과 중동, 80~110%인 아시아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보수화된 근무체계에 직원들은 퇴사를 고려하기도 한다. 아마존은 최근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제2의 본사를 열었는데 재택 근무자에 샌프란시스코와 뉴욕 등 대도시의 사무실로 옮길 것을 통보하자 이에 반발한 직원들은 거주지까지 이전해야 해 사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관련기사 ◀
☞ [단독]연체율 낮추려 연체채권 1조 탕감한 새마을금고
☞ “3일 연차 쓰면 최대 12일 연휴”…항공편 예약률도 ‘껑충
☞ “가위로 찌른 취객 발로 찼다가 폭행범 될 뻔”…검찰 판단은
☞ 10대 딸 목 졸라 살해하고 극단 선택 시도한 아빠
☞ 소방관 부부동반 모임서 성폭행 시도…얼굴까지 때렸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소현 atoz@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67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98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