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회복에 올 대중 수출 개선됐지만 과거 같은 무역흑자 어려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IT회복에 올 대중 수출 개선됐지만 과거 같은 무역흑자 어려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8회 작성일 24-02-18 14:02

본문

뉴스 기사
대중수출 20대 품목 중 13개서 점유율 하락…전기동력 품목서만 22조원 적자

연합뉴스연합뉴스

정보기술IT 제품 수요 회복에 따라 최근 부진했던 대중對中 수출이 올해 상당 폭의 개선이 예상되지만 과거와 같은 일방적 대중 무역수지 흑자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상품의 경쟁력 약화 등 구조적 변화에 따른 것인데 배터리 원료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8일 펴낸 최근 대중 무역수지 적자 원인 진단과 평가 보고서에서 "올해 중국의 IT 수요 회복 속도가 9.3%로 글로벌 회복세인 6.8%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중 IT 수출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최근 대중 수출 부진은 주력인 반도체를 포함한 IT 상품 수출 부진에 따른 것이어서 중국의 IT 수요 회복이 전체 대중 수출의 뚜렷한 회복세로 이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해 대중 수출은 전년보다 310억달러 감소했는데, IT 품목의 수출 감소액만 198억달러로 전체 수출 감소액의 64%를 차지했다.

무역협회는 이렇게 전망하며 "대중 수출과 무역수지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중국을 상대로 과거 같이 대규모 무역흑자를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협회는 우선 중국 수입 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경쟁력이 다른 나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추세에 주목했다.

지난해 중국의 전체 수입에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6.3%로 전년의 7.4%보다 1.1%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1992년 한중 수교 이듬해인 1993년5.2%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협회가 한 나라의 수출 변동을 경쟁력 요인과 구조 변화의 요인으로 분해하는 불변시장점유율CMS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에서 중국의 수요 감소 요인 비중은 30.1%에 그친 반면, 경쟁력 약화와 상품 구성 약화 요인 비중은 각각 31.9%, 37.9%로 나타났다.

이런 흐름은 지난해 중국의 대한국 수입 상위 200개 품목 중 14개 품목의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1~11월 중국의 수입 시장에서 한국 반도체 점유율이 1.5%p 하락한 것을 비롯해 △반도체 장비3.2%p↓ △컴퓨터3.8%p↓ △화장품0.5%p↓ △합성수지1.5%p↓ △디스플레이4.9%p↓ 등의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줄었다.

한국 상품의 경쟁력 약화가 수출에 영향을 끼친다면 중국으로부터 이차전지와 이차전지 소재 등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는 추세는 대중 무역수지에 큰 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기차와 이차전지 산업이 발달하면서 중국에서 수입되는 이차전지 완제품과 양극재, 전구체, 리튬 등 배터리 소재의 수입이 급증하는 추세다. 특히 리튬과 전구체 등 중국이 이차전지의 상류산업 분야에서 오랫동안 구축해온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의 자급 등 공급망 다변화 노력에도 대중 의존도를 단기간에 낮추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양극재, 리튬이온배터리, 전기차를 합친 전기동력화 품목의 무역수지 적자는 지난 2020년까지 40억달러 수준이었지만, 2021년 78억달러, 2022년 129억달러를 거쳐 2023년에는 164억달러약 22조원로까지 커졌다.
이는 2023년 전체 대중 무역수지 적자액인 180억달러와 거의 맞먹는 규모다.

무협 김우종 연구위원은 "최근 전기 동력화 품목 수입 증가 속도, 중국 내 한국 제품 점유율 하락, 핵심 원료 수입 의존도 증가, 중국의 자급률 확대는 향후 대중 무역수지 흑자 전환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배터리 원료 등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수입선 다양화, 국산화 등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김수영 기자 sykim@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나발니 사망 전 교도소 방문한 러 정보요원…이것 사라졌다
- [단독]"새마을금고에서 부탄가스 터트린다" 협박男 체포
- 탁구 게이트 후 엇갈린 명암 SON은 최저 평점, 이강인은 나름 활약
- 좋아요·댓글 조작…가짜 경제학 박사로 18억 뜯어간 30대들
- 딸 4명 앞에서 흉기 들고 "강아지 죽인다"…40대父의 최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8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06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