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47.2% "자금 사정 악화"…금융부담 해소 절실
페이지 정보

본문
중기중앙회, 중소기업 애로실태 조사 결과
높은 대출금리 부담 호소…금리 인하 목소리
높은 대출금리 부담 호소…금리 인하 목소리

최근 고환율·고금리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금융 부담 정도가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최근 두 차례 금리를 인하했지만, 여전히 영세한 중소기업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셈이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3일부터 12일까지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중소기업 금융이용 및 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자금 사정을 묻자 ‘악화했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47.2%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악화했다’고 응답한 기업31.7%보다 15.5%포인트나 증가한 수치다. 반대로 ‘호전됐다’고 답한 기업은 6.6%에 불과했다. 특히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답한 기업 비중이 높아 영세한 기업일수록 자금 사정이 더욱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원인으로는 ‘판매부진’59.3%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원부자재 가격 상승’41.9%, ‘인건비 상승’26.3% 등이 이었다.
은행을 통한 자금조달 시 애로사항으로 중소기업은 ‘높은 대출금리’46.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은행 대출과 관련한 요구사항은 ‘대출금리 인하’74.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에 가장 절실한 금융지원 과제로는 ‘금리부담 완화 정책 확대’38.6%라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해소가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한국은행의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 후 대출금리 변동을 묻는 질문엔 ‘변동없음’49.4%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내년 한국은행 적정 기준금리 질문엔 전체 응답자의 61.2%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동결’이라고 답한 기업 비율은 34.8%를 차지했다. 내년 은행 이용 여건을 묻자 전반적 차입여건이 악화할 것이라고 답한 비중이 32.6%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조사의 ‘악화’17.7% 응답보다 14.9%포인트나 증가한 것이다. 심사기준이 강화될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도 24.6%로, 지난해 19.7%에 비해 4.9%포인트 높아졌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올해 매출 감소와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자금 사정이 악화한 중소기업이 크게 증가했다”며 “한국은행의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시중 은행도 대출금리를 인하해 중소기업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 오늘의 운세 2024년 12월 23일 月음력 11월 23일
▶ “이스라엘·우크라는 새발의 피”...여기서 전쟁나면 전세계 GDP 10% 급감
▶ [단독] “그나마 남은 인원도 이직 준비 중이에요”…‘대량 실직’ 공포 덮친 이 업계
▶ ‘수령거부’ 버티는 尹, 탄핵 심판 드디어 시작되나…헌재가 내놓은 해법은
▶ 11만명 앞에서 결국 말문 연 유재석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중소금융권 대출받은 소상공인, 이달말 이자환급 신청…최대 150만원 24.12.23
- 다음글발언하는 한덕수 권한대행 24.12.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