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인증서 뭐길래…국제거래 물꼬 트니 30억원 몰렸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재생에너지인증서 뭐길래…국제거래 물꼬 트니 30억원 몰렸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4-02-17 14:00

본문

뉴스 기사
[이주의 핫딜] REC·배출권 등 거래하는 씨너지, 브릿지 투자 유치

본문이미지


친환경·재생에너지를 썼다는 인증, 즉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한편 국가 차원을 넘는 REC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REC 거래플랫폼 기업 씨너지가 3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앞서 2022년 진행한 프리시리즈A에 이은 브릿지 성격의 투자라운드다.

17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한화투자증권, 퀀텀벤처스코리아, SGC파트너스-DSN인베스트먼트공동투자,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등 4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들은 탄소배출권 등 이른바 환경상품의 국제거래가 늘어나는 가운데 씨너지가 이미 글로벌 거래망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을 높이 샀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씨너지의 플랫폼을 통해서 시장 시스템 및 인프라가 정교해지고, 고객사들의 접근성이 향상된다면 관련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생소하던 REC·탄소배출권 안심거래


한화투자증권은 "글로벌 밸류체인공급망 전방위적으로 RE100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며, 기업들이 협력사를 선정할 때도 RE100 실적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RE100은 산업 생산에 드는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로 만들어 온실가스를 줄이자는 방향이다. 캠페인처럼 시작해 일종의 국제 규범처럼 자리 잡았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기업들은 REC, 탄소배출권 등 환경상품을 사고판다.

환경상품은 중개인브로커을 통한 거래가 일반적이다. 때문에 투명성 부재, 정보 비대칭성이 해결 과제였다. 씨너지는 블록체인의 분산원장 기술을 이용해 REC 데이터를 비교검증할 수 있게 했다. 거래 투명성을 높였고 특히 국가간크로스보더 거래를 지원할 인프라를 갖췄다.

씨너지 플랫폼에서 중국, 인도, 태국, 베트남 등 전 세계 47개국이 REC,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거래하고 있다. 2월 현재 씨너지 플랫폼에서 누적 5304GWh기가와트시 규모의 REC 거래가 이뤄졌다.
본문이미지
/사진=조수아 디자인기자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글로벌 사업장을 다수 운영하는 다국적 기업들, REC·탄소배출권 등 환경상품 시장에 접근이 어렵고 협상력이 약한 기업들에게 정보의 비대칭성 및 거래의 비효율을 해소,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점을 평가했다"고 투자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전문성을 갖춘 조직을 꾸린 C-레벨의 인재 경쟁력도 갖췄다"고 밝혔다.

강아영 퀀텀벤처스 심사역은 "씨너지의 크로스보더 경쟁력을 눈여겨 봤다"고 말했다. 강 심사역은 "환경상품 거래의 국내 수요는 아직 작아서 해외시장에 들어가는 게 중요한데 씨너지는 이미 글로벌 거래망"이라며 "다국적 기업들은 사업장 현지에서 RE100를 조달할 의무가 발생하므로 크로스보더 거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글로벌 투자은행 출신의 전문 트레이딩 팀이 엄선한 환경상품을 공급·관리하는 게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국적기업들 REC 거래수요 늘 것"


이번 라운드에 참여한 투자사들은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주력해 왔다. 한화투자증권은 금융의 모든 단계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환경경영을 화두로 내세웠다. 퀀텀벤처스코리아는 글로벌 REC 거래에서 새로운 투자기회를 봤다. SGC파트너스는 열병합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업 SGC에너지의 벤처캐피탈VC 자회사다. 브라이트에너지는 클린에너지 인프라 전문 투자회사다.

씨너지는 모간스탠리 등 금융권에서 일했던 진용남 대표가 2020년 설립했다. 진 대표는 북미 지역에서 REC가 마치 원자재처럼 거래된다는 사실을 보면서 창업을 구상했다.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했다.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북미와 남미, EU 및 아프리카 등으로 REC 거래사업을 확대, 다각화한다.

올해 100여개 회사를 고객사로 추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20만~30만달러 수준인 월매출액을 월 100만달러, 약 14억~15억원 규모로 늘리고 연매출 200억원 이상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진용남 씨너지 CEO최고경영자는 "미국 및 유럽 시장으로의 확대, 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사업의 성장 가속화와 수익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본문이미지
진용남 씨너지 대표 인터뷰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

[관련기사]
"가장 힘든 일주일"…손흥민, 탁구사건 후 첫 심경 고백
진서연 "남편과 클럽서 맥주 마시고 임신 사실 알아"
오늘 로또 추첨 황금손은 공효진 엄마...무슨 일 하길래?
"손흥민·이강인 탓" 클린스만 변명에…한숨 쉰 김진수, 고개 푹
손 만지며 눈물 참는 손흥민, 마주친 이강인…요르단전 직후 모습[영상]
손정의, AI칩 독점 엔비디아에 도전…133조원 반도체 벤처 펀드 추진
독일서도 클린스만 경질 공감대…"아시안컵 부진은 일부에 불과"
"12시간이면 집 한 채 날린다"…100배 비트코인, 직접 해보니
[더영상] 이강인 3인방, 4강 앞두고 물병놀이…고압선 훔치다 지지직 감전사
헐벗었던 여전사들, 근육 키우고 갑옷 입는다…게임서 부는 새바람
자취 감춘 4%대 예금…새마을·신협서 5.4% 이자 효과 톡톡
에코프로, 7개월 만에 추가 자금조달 나선다…어디에 쓰나
정부 만류 아랑곳…의대생들 "20일부터 집단 휴학"
중국 휘청이자 수익률 13% 주르륵…"원자재 투자 이렇게 하세요"
13초 만에 지붕 폭삭→115명 사상…새내기 꿈 앗아간 그날의 비극[뉴스속오늘]

김성휘 기자 sunnykim@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45
어제
871
최대
2,563
전체
422,37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