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리텍,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LFP 재활용 공동연구 MOU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세기리텍,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LFP 재활용 공동연구 MOU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8회 작성일 23-09-04 10:22

본문

뉴스 기사
[이투데이/김우람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자원활용연구본부 정경우 본부장오른쪽과 세기리텍 김민홍 대표가 지난달 31일 오후 4시 지자연 미래연구동 대회의실에서 리튬배터리 재활용 분야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케이피에스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자원활용연구본부 정경우 본부장오른쪽과 세기리텍 김민홍 대표가 지난달 31일 오후 4시 지자연 미래연구동 대회의실에서 리튬배터리 재활용 분야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케이피에스 제공

케이피에스 100% 자회사 세기리텍이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4일 케이피에스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세기리텍대표이사 김민홍 기술연구소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연구본부와 사용후 전기차용 리튬이차전지 재활용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 향후 관련 기술 개발에 필요한 국책과제 등에 공동 참여하기로 협의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특히 LFP 배터리 재활용 분야 발전에 상호 협력을 진행하며, 세기리텍은 MOU 직후부터 지질자원연구원에 연구용 LFP 배터리 원료를 지속 공급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협력분야는 △LFP 재활용 기술 개발 △연구 인력 교류 및 기술 지원 △사용 후 자동차용 배터리 재활용 상업화 시설 및 설비 구축 개발 △기술 개발 과제 공동 참여 등으로 나뉜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세기리텍 측에 LFP 포함 리튬이차전지 재활용 관련 기술 자료를 적극 제공하고, 세기리텍의 경우 전처리 단계부터 리튬전지의 소재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보유기술배터리의 소재 분리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재생용 소재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세기리텍은 지질자원연구원으로부터 전기차 폐배터리NCM·LFP에서 희소금속을 뽑아내는 용매추출 공정기술에 대한 이전 사업화 추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7월부터 지질자원연구원의 지식재산권특허기술명: 다단 용매추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노하우희소금속 분리 공정 설계와 운전를 이전 받고 있다.

김민홍 세기리텍 대표는 "유일한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함께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화를 추진하게 된 만큼 최적의 상용화 시스템 구축에 성공해 압도적인 희소금속 회수율 달성에 나설 것"이라며 "올 연말부터 LFP 재활용을 위한 파일럿 공장뿐 아니라 내년까지 NCM 계열 상용화가 가능한 희소금속 회수 제 1공장 건립에 나서겠다"고 했다.

[이투데이/김우람 기자 hura@etoday.co.kr]

[관련기사]
케이피에스, 올해 연매출 1300억·영업이익 흑자전환 전망
케이피에스, LFP·NCM 모두 대응 가능한 리사이클링 업체
케이피에스, 빅싱크 디지털치료기기 美 탐색임상 완료…“68% 환자’ 증상 개선”
케이피에스, 배터리 주원료 경연-순연 생산 자회사덕 매출 10배 증가

[주요뉴스]
[종합]개별 금고 부실 우려↑…"정상 연체율에 가려진 사각지대 금고 수두룩" [새마을금고 현주소]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44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79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