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은 8월로 끝났다…9월에 못 끈 에어컨, 가을 전기료 공포
페이지 정보
본문
━
내주 날아들 ‘한전 고지서’
박모42 씨는 지난달 추석 연휴9월 14~18일를 떠올리면 무더웠던 기억밖에 안 난다. 연휴 기간 내내 에어컨을 틀고 지냈다. 가족 모두가 반소매 옷을 입고 추석을 보낸 것도 처음이었다. 박씨는 “추석秋夕이 아니라 하석夏夕이란 말이 실감 났다”며 “10월 들어서야 에어컨을 끄고, 선풍기도 창고에 들여놨다”고 말했다. 박씨는 다음 주쯤 날아들 9월 전기요금 고지서가 한여름과 비슷할 것으로 보고 있다.
초가을까지 이어진 폭염이 가계에 전기요금 부담을 지우고 있다. 9월인데도 불구하고 전국 일평균 최고 기온이 29.6도에 달했을 정도로 무더워 좀처럼 에어컨을 끌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난달부터 전기료 ‘혹서기 할인’을 적용하지 않아 체감 전기요금 증가 폭이 클 수 있다.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최대 전력수요는 평균 78GW기가와트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최대 수요73.5GW 대비 약 6% 늘었다. 9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여름인 7월 최대 전력수요80.5GW에 육박했다. 최대 전력 수요는 하루 중 전력 수요가 가장 많은 시간대의 전력 수요를 뜻한다. 최대 전력수요가 증가했다면 전반적인 전기 사용량도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주택용 전기요금에는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높은 요금을 매기는 누진제를 적용한다. 다만 냉방용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여름철7~8월에는 누진 구간을 확대하는 식으로 전기료를 할인해 준다. 예를 들어 7~8월 주택용 전력 요금 체계는 300㎾h킬로와트시 이하는 120원이하 1㎾h당, 300㎾h 초과 450㎾h 이하는 214.6원, 450㎾h 초과는 307.3원을 적용한다.
하지만 9월부터는 혹서기 전기료 할인 혜택이 사라진다. 사용량 200㎾h 이하는 120원, 200㎾h 초과 400㎾h 이하는 214.6원, 400㎾h 초과는 307.3원을 적용하는 식이다.
에어컨을 가동한 시간이 똑같더라도 9월이라면 부담이 가중하는 구조다. 예를 들어 8월에 전기를 500㎾h 쓴 가정은 전기요금이 11만770원이다. 하지만 9월에도 같은 양의 전기를 썼다면 전기료 12만6720원을 내야 한다.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8월 주택용 전기요금은 가구당 평균 6만3610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7520원13% 증가했다. 전체 2522만 가구 중 76%1922만 가구의 전기요금이 1년 전보다 늘었다. 요금이 5만~10만원 증가한 집이 75만 가구, 10만원 이상 증가한 집은 38만 가구였다. 요금이 늘어난 가구만 놓고 보면 평균 증가액은 1만7000원 수준이다. 평균 전기료 수준을 고려하면 적지 않다.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이 한전에서 제출받은 월별 일반용 전기료 체납 건수 및 금액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체납액은 약 784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체납액569억원 대비 37.8% 늘었다. 고동진 의원은 “올여름 극심한 더위로 전기요금이 평년보다 더 나와 서민·소상공인의 부담이 늘었다”고 말했다.
기후 변화로 여름철 폭염이 9월까지 이어지는 사례가 일반화할 전망이다. 전기요금 할인을 기존 7~8월을 넘어 9월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전기료를 인상하지 않고 누진제 완화 구간만 확대할 경우 전기 과소비를 부추길 수 있다. 부채 규모가 200조원을 넘긴 한전의 부담도 커진다. 한전 관계자는 “주택용 전기의 경우 여전히 공급 원가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공급하고 있다”며 “수차례 미룬 전기요금 현실화부터 선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푸세식 화장실이 장수 비결? 치매 안 걸리는 그들
▶ "백종원이 꿈에서 레시피 알려줬는데"…20억 대박
▶ 삼전 주가 왜 이래…"답 없다" 전문가 충격 분석
▶ 눈 찢었다가…결국 中대회 포기한 女테니스 스타
▶ "얼굴이 4분의 3 됐네"…곽튜브, 논란 3주 만에 근황
▶ 이게 유행? 수업중 교사에 빠XX…고교생 충격 영상
▶ 아이 키 안 작은데 이 주사 맞혀서…척추 부작용 깜짝
▶ 사라진 만원의 행복…북창동 음식거리 값 올렸다
▶ "실습은 서울서" 잘 키운 의대생, 수도권 준 지방대
▶ 올해 벌써 41명…임상시험 사망 급증, 이 곳이 최다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기환 khkim@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가상자산 현안 산적한데…국감 증인 채택은 0명 24.10.10
- 다음글[클릭 e종목]"카카오, 새로운 광고 수익화 전략 필요" 24.10.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