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약 처방 우려는 기우…비대면 환자 10명 중 4명 약 못 받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비대면 약 처방 우려는 기우…비대면 환자 10명 중 4명 약 못 받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8회 작성일 24-03-21 19:45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계가 비대면 약 처방과 배달을 반대해야 한다는 의약업계 주장에 대해 과도한 우려라는 입장을 밝혔다.

21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산하 원격의료산업협의회는 △비대면진료의 의료 공백 해소 한계 △의약품 배송 확대 반대 △비급여 의약품의 비대면 처방 금지 등 의약업계 주장에 반박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앞서 어제20일 대한약사회는 자체 설문 결과, 비대면 처방의 60%가 비급여 처방이며 이중 탈모와 여드름 약 처방이 89.3%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대한약사회는 "탈모와 여드름 치료제 등은 인체 내 호르몬 교란을 일으켜 발기부전, 우울증, 자살 충동의 원인이 되고 가임 여성의 경우 피부 접촉만으로도 기형아 발생 위험이 있다"며 비대면 약 처방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원산협은 대한약사회의 설문조사가 객관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원산협은 "대한약사회의 비급여 처방 수치60%는 1000여곳 약국의 응답에 기초한 것으로 객관적인 수치가 아니"라며 "약사회가 지목한 의약품에 대한 처방 주체도 엄연히 의사이며 현재 의약품 배송이 금지돼 있어 대부분의 환자는 약국에 직접 방문해 복약 지도를 받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환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의약품 배송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산협은 "비대면진료 플랫폼 이용 환자 10명 중 4명 이상이 처방 약을 수령받지 못하고 있다"며 "의사 진료와 처방은 비대면으로 이뤄지면서 정작 의약품 수령은 대면으로 이뤄져야 하는 현행 구조는 비대면진료 취지에 어긋나며 환자 불편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원산협은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한 비대면 진료 한계를 부각하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원산협은 "현행 비대면진료 서비스가 1차 의료기관 단위에 집중돼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사회적으로 대형병원 쏠림에 대한 우려를 고려해 의원급 의료기관과의 협업에 더 주력했던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추후 비대면진료의 본격적인 제도화와 확대 시행, 이를 뒷받침하는 규제 혁신이 이뤄지면 비대면진료와 상급병원과의 협업 역시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한다"며 "비대면진료가 상급병원의 업무 과중과 비효율을 개선하는 대안적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관련기사]
"내가 구준엽과 불륜? 외도한 건 너"…서희원, SNS로 전남편 저격
이혜정 "며느리 말대꾸, 지적하자 또 받아쳐…화나 펄펄 뛰었다"
오재원, 마약 주사기 태우고 겨드랑이털 제모…치밀했던 증거인멸
EXID 하니 하객룩 어땠길래…"신경 좀 써" vs "깔끔하기만 한데"
류준열 골프광 논란에 그린피스도 손절?…"홍보대사 검토"
북극곰 살리자던 류준열이 골프광? "후원 취소"…그린피스에 불똥
이혼 황정음 "사람 고쳐쓰는 거 아냐…악역 연기로 스트레스 풀어"
"전남편, 목 조르고 때려 이혼…사실혼 관계 중 외도 공개해" 경악
유재석 "자식이 아이돌 한다면? 들은 얘기 많아 선뜻 찬성 못 해"
손흥민, 이강인과 눈 마주치자 활짝…"역시 월클" 팬들 분노 녹였다
[르포]"가족끼리도 싸워요"…전석 매진 태국전 관중 바글바글
죽은 줄 알았는데, 아버지 딴집살림…양육비·상속 받을 수 있나요
심형탁, 5주년 여행 앞두고 술…결국 늦잠→여행 지각 ♥사야 분노
SNS 저격 후 사과 혜리, 밝은 근황…촬영장서 침 흘리며 꿀잠
뒤늦게 달려든 국민연금, 이제 밸류업 종목만 집중매수

남미래 기자 future@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16
어제
1,673
최대
2,563
전체
439,72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