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도 함부로 못사먹을 판…" 집밥도 외식도 두려운 밥상물가, 이제 시작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귤도 함부로 못사먹을 판…" 집밥도 외식도 두려운 밥상물가, 이제 시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6회 작성일 24-03-15 08:32

본문

뉴스 기사
quot;귤도 함부로 못사먹을 판…quot; 집밥도 외식도 두려운 밥상물가, 이제 시작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의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 “외식비가 너무 올라서 퇴근 후 배달보다는 집밥을 해먹고 있는데, 채소랑 닭고기, 과일을 샀을 뿐인데 10만원이 나오더라고요. 배달 치킨도 값이 올라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차라리 치킨 한마리를 사먹는 게 더 싸겠어요. ” 40대 주부 A씨

# “딸기가 500g에 만원이 넘으니 들었다놨다 몇번을 했는지 몰라요. 그런데 귤도 800g에 1만4000원이더라고요. 과일 대신 비타민C 영양제를 먹어야 하나봐요.”30대 회사원 B씨

사과값이 1년 새 71%가 오르고, 파 가격이 50% 넘게 치솟는 등 밥상에 자주 오르는 과일·채소값이 고공행진 하고 있다. 사과가 비싸지자 귤값이 더 크게 오르는 등 연쇄적으로 과일값이 뛰고 있고, 파50.1%, 배추21%, 시금치33.9%, 가지27.7% 등 채소값도 두자리 수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상승률이 아직 가공식품이나 외식물가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먹거리 물가가 더 오를 수 있다.

14일 국가통계포털KOSIS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1.4% 상승했다. 채소12.2%와 과실40.6%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특히 사과는 봄철 저온 피해로 착과수가 줄었던 데다가 여름철 집중 호우, 수확기 탄저병 발생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생산량이 30% 급감해 값이 올랐다. 겨울철 수요가 늘어나는 귤78.1%도 급등하고 배61.1%와 딸기23.3% 등도 큰 폭 올랐다.

채소류도 비상이다. 채소류 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2.2% 올랐다. 지난해 3월13.8%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과채류 가격 상승에 신선식품 지수는 지난달 20.0% 올랐다. 3년 5개월 만에 최고 상승 폭이다.

20240315050060_0.jpg
명동거리의 식당가 모습 [연합]

문제는 앞으로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에 직접 상방압력으로 작용한다. 사실상 원자재이기 때문이다.

실제 가공식품과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 상승률 ‘갭차이’가 10.0%포인트 가량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과의 차이도 약 7%포인트 난다.

가공식품과 외식의 원자재 격인 농축수산물 물가가 급등했지만, 아직 두 품목의 물가 오름세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않은 셈이다.

2월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로 1.9%에 불과하다. 물가 안정 목표치인 2% 이내로 2021년 7월1.8% 이후 처음으로 들어왔다. 그런데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간신히 잡은 안정 흐름이 깨질 가능성이 생겼다.

비용압력이 생기면 적극 가격을 조정해 소비자에 전가하는 최근 기업 행태도 이러한 우려를 키운다. 한국은행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는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했다.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렸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한해 약 두 번 올렸다.

외식물가도 오름세가 유지될 공산이 커졌다. 지난 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를 기록했다. 2021년 10월3.4% 이후 2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3%대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전체 평균3.1%보다 0.7%포인트 높다.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햄버거가 8.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김밥6.4%, 냉면6.2%, 도시락6.2%, 비빔밥6.1%, 오리고기외식6.0%, 떡볶이5.7%, 치킨5.4% 등 순이었다. 가격이 내려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품목은 없었다.



th5@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장원영 20대 팬, 코인으로 3800억 벌었다" 세계 4위 한국인 투자자 정체는?
▶ 김민재 한소희 닮은꼴 아내 최유라 공개…"올해 배우 복귀"
▶ "꿇어. 이 X 잘라" 유명 변호사, 강남 클럽서 갑질 논란
▶ 파묘 조롱 中네티즌…尹대통령·박정희 얼굴에도 한자 합성
▶ “현주엽, 먹방 찍느라 훈련불참” 학부모 민원…교육청 “휘문고 자체조사중”
▶ “이강인 보이콧 근황, 전석 매진?”…태국전 6만석 다 팔렸다
▶ 유퀴즈공효진 엄마, 사위 케빈오 열살 연하에 "미쳤냐. 너"
▶ 임현식 "농약 뿌리다 많이 들이마셔 죽을 뻔"
▶ 관리의 여왕 이영애, 가장 먹고 싶은 음식은?
▶ 김창완, 23년만 라디오 하차…마지막 기타 연주 후 ‘오열’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07
어제
1,295
최대
2,563
전체
431,34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