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80세 할아버지 되면…한국인 절반이 65세 이상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MZ세대가 80세 할아버지 되면…한국인 절반이 65세 이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5회 작성일 24-03-26 14:04

본문

뉴스 기사
통계청, 2023 한국의 사회지표 발표

MZ세대가 80세 할아버지 되면…한국인 절반이 65세 이상

지난 1월 10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 무료급식소 인근 식당가에서 점심식사를 위해 시민들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80세에 접어들 땐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65세 이상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국민들이 가장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이념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총인구는 5171만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로 보면 0~14세가 571만명11.0%이었고 15~64세가 3657만명70.7%, 65세 이상은 944만명18.2%이었다.

통계청은 M 세대 막내인 1994년생이 78세가 되는 2072년엔 국내 총인구가 3622만명으로 줄어들고,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전체의 47.7%1727만명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의 비중은 45.8%1658만명로 줄어 65세 이상 인구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국내 인구는 경기와 서울, 경남, 부산, 인천 순으로 많았다.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050년이 되면 경기와 세종, 제주, 충남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인구가 현재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인 서울의 인구는 2050년에 800만명 밑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사람들이 가장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보수와 진보’82.9%였다. ‘빈곤층과 중상층’이 76.1%, ‘근로자와 고용주’가 68.9%로 각각 뒤를 이었다. 자기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74.1%과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68.4%은 전년보다 1.3%와 4.2%포인트씩 낮아졌다.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236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3745달러로 같은 기간 2.6% 늘었다.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0.324로 0.005만큼 감소해 분배지표가 개선됐다.

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12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15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