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길에서 1시간14분…머나먼 출퇴근길, 남들은?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매일 길에서 1시간14분…머나먼 출퇴근길, 남들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12-20 12:01 조회 40 댓글 0

본문

본문이미지
전국철도노동조합이 노사 결렬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5일 서울 중구 한강대로 서울역 1호선 전철역사 승강장에서 시민들이 전철을 이용하기위해 즐서서 기다라고 있다. /사진=임한별머니S

국내 근로자들이 출퇴근에 평균 74분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리로는 17㎞로 다녔다. 수도권 통근시간 82분으로 가장 길었다. 통근 속도는 세종시가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0일 이러한 내용의 2024년 통근 근로자 이동 특성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통신 3사 모바일 데이터와 통계청 등록센서스 자료 등을 결합, 약 1220만명의 통근 이동 정보가 있는 근로자를 분석한 결과다.


분석 결과를 보면 통근 근로자의 평균 출퇴근 소요시간은 73.9분이다. 출근과 퇴근 시 소요시간은 각각 36.5분, 37.4분이 소요됐다.

연령별로는 30대의 통근 소요시간이 76.9분으로 가장 길었다. 40대75.4분, 50대73.1분, 60대69.6분 등으로 연령이 높아지면 통근 소요시간도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 통근시간은 수도권 82.0분이 가장 길고 강원은 57.7분으로 가장 짧았다.

통근 근로자의 평균 출·퇴근 이동거리는 17.3㎞였다. 남성이 19.8㎞로 여성13.9㎞보다 5.9㎞ 더 멀리 이동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는 18.6㎞로 가장 멀리 이동했고 60대 이상은 15.2㎞로 가장 짧게 다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통근 근로자의 통근 거리는 19.0㎞로 가장 멀리 이동하고 제주는 13.9㎞로 가장 짧게 다녔다.

통근 속도는 울산이 7.9km/h로 가장 빠르고 경남7.6km/h, 경북7.4km/h 순이었다. 세종이 통근 속도가 5.8km/h로 가장 느리고 대전 6.0km/h, 광주 6.2km/h 등 순이었다.

출퇴근 시간을 보면 통근 근로자의 평균 출근 시각은 8시 10분이다. 시간대별로는 7시대에 출근하는 비중이 31.5%로 가장 높았다. 이어 8시대28.7%, 6시대15.7%, 9시대15.2% 등 순이었다.

통근 근로자의 평균 퇴근 시각은 18시 18분이었다. 18시대에 퇴근하는 비중이 28.5%로 가장 높았다. 이어 17시대25.5%, 19시대19.0%, 16시대15.7% 등이었다.

남성은 7시대에 출근하는 비중이 32.9%로 가장 높고 여성33.4%은 8시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퇴근시간은 남성28.3%과 여성28.8% 모두 18시대가 가장 컸다.

지역별로 출근 시각은 제주가 8시 22분, 강원이 8시 21분으로 늦었고 동남권이 8시 7분으로 가장 빨랐다. 퇴근 시각은 강원이 18시 4분으로 가장 이르고 수도권이 18시 24분으로 가장 늦었다.

[관련기사]
"구미 공연 취소해" 보수단체 반발에…이승환 "각오하고 와" 무슨 뜻?
"우는 사람 많아" "없어져야 할 프로"…세바퀴 폭로에 이휘재 소환
3번 외도 남편, 아내 극단적 시도에도 "정떨어져" 막말…이유는
"모기 물리면 혹부리처럼"…아이유 앓는 스키터증후군 뭐길래?
더 글로리 악역 류성현 반전…55세에 18세 연하와 결혼 앞둔 사연은
JYP 박진영, SNS에 아내와 두 딸 공개…함께 눈사람 만들었다
60대 취업 기뻐하던 아빠…식물인간으로 퇴근했다
"혼밥 손님은 1000원씩 더 내세요"…식당 안내문에 갑론을박
민주당 지지율 48%, 국민의힘 두배…이재명 대표 선호도 8%P↑
尹 탄핵찬성 김상욱 "색출한단 말 자주나와, 극우·전체주의 발상"
[속보]민주당 "12월31일 안 기다려...한덕수, 선제적 탄핵 가능"
세 번이나 외도한 남편, 아내 지적에 "감정적 바람이었어" 당당
"욕망 억제할 수 없었다" 여중생 상습 성폭행한 교장…열도 발칵
"캐나다, 미국에 합치자"는 트럼프의 거친 외교 행보…한국엔?
경기도 남양주 왕숙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