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대출로 54억 아파트 매입…외국인 위법의심거래 282건 적발
페이지 정보

본문
국토부, 외국인 부동산 이상거래 기획조사 결과 발표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1. 외국인 국적의 한 부부는 서울 투기과열지구 내 아파트를 53억원에 사들였다. 이 과정에서 남편은 본인이 대표인 법인에서 돈을 빌렸고, 부인 역시 남편 회사에서 자금 일부를 차용했다.
아파트값 60%31억5천만원를 특수관계 법인에서 빌린 돈으로 낸 데다, B씨는 부모에게 편법증여를 받은 것으로도 의심돼 국토부는 이들 부부를 특수관계인 차입금 과다 및 편법증여 의심으로 국세청에 통보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외국인의 부동산 이상거래를 기획 조사한 결과 위법 의심거래 282건을 적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이뤄진 외국인 주택, 토지, 오피스텔 이상거래 557건을 조사했더니 282건50.6%의 거래에서 위법 의심행위 433건이 발견됐다.
적발 사례 중 해외에서 자금을 불법 반입한 사례가 77건으로 가장 많았다.
1만 달러가 넘는 현금을 직접 가지고 들어오면서 신고하지 않거나, 외국환은행을 거치지 않고 자금을 불법 반입하는 소위 환치기 사례다. 신고 의무가 없는 반입 한도는 하루 1만 달러다.
영리활동을 할 수 없는 방문취업 비자H2 등으로 체류하며 임대사업을 한 사례는 15건 적발됐다.
부모-자식, 법인-법인대표 등 특수관계인 사이 편법 증여 의심 사례는 15건 나왔다.

[국토교통부 제공]
개인사업자가 금융기관에서 기업운전자금 용도로 대출받은 뒤 실제로는 부동산을 사들인 경우도 7건 있었다.
외국인 A씨는 은행에서 기업시설 자금 목적으로 2억6천만원을 대출받고선 이를 4억5천만원짜리 경기도 소재 오피스텔을 사는 데 썼다가 적발됐다.
이번에 적발된 위법의심행위 433건을 국적별로 분석한 결과 중국인이 192건44.3%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인 100건14.9%, 호주인 22건5.4%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지역 내 위법의심행위가 128건29.6%, 서울 64건14.8%, 충북 59건13.6%이었다. 수도권 위법의심행위가 전체의 53.6%를 차지한다.
국토부는 이번 조사에서 적발된 불법의심행위를 국세청·관세청·법무부·금융위원회와 지자체에 통보해 범죄 수사, 과태료 처분 등 후속 조치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chopark@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무궁화꽃이 다시 피었습니다…오징어게임2 공개 나흘 앞으로
- ☞ 할리우드 배우 라이블리, 불화설 끝 가정폭력 영화 상대역 고소
- ☞ 탄핵정국 뉴스시청↑…이달 5G트래픽 사상 첫 100만TB 초과 전망
- ☞ 美, 원숭이떼 집단 탈출 동물연구소 조사…"동물학대 의혹"
- ☞ [샷!] 올겨울 산타를 만나는 법
- ☞ 성인용뿐인 구급차 들것 영유아용 발명한 여성 구급대원 화제
- ☞ 조주빈 추적 디지털 장의사, 돈 받고 개인정보 캐다 벌금형
- ☞ 구치소서 볼펜으로 재소자 찔러 눈 뼈 골절…60대 징역형
- ☞ 학적조회하고 전화해 "남친 있냐" 물은 공무원…"정직징계 정당"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한국 인사 중 최초로 트럼프 만난 정용진 "대화는 공개 못해" 24.12.22
- 다음글공실을 기회로: 건물주를 위한 공실 해결 전략 [한경부동산밸류업센터] 24.12.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