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4명 비만…한 해 11만명 목숨 잃어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 강남구 파크약국에서 약사가 입고된 비만치료제 위고비를 정리하고 있다.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개발한 ‘위고비’는 지난 15일 국내에 출시 됐다. 펜 모양의 주사 1개로 주 1회, 1개월씩4주 투여하도록 개발·제조된 위고비는 의사의 처방 후 약사의 조제·복약지도에 쓰일 수 있는 전문의약품이다. /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세종=뉴스1 손승환 기자 = 19세 이상 성인의 37.2%가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인 비만이라는 조사가 나왔다.
특히 재작년 기준 비만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11만 2000명으로 전년보다 7.5% 증가했다.
통계청은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한국의 사회동향 2024를 발표했다.
성인 10명 중 4명꼴 비만…사망 이르게 하는 위험요인 5위

통계청 제공
2022년 기준 19세 이상 성인 중 남자의 비만율은 37.2%로 10년 전과 비교해 11.4%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여자의 비만율은 25.7%로, 10년 전 대비 2.3%p 하락했다.
청소년 비만율도 오름세를 보였다. 남학생의 비만율은 15.5%로 10년 전보다 2.1배, 여학생은 8.5%로 1.8배 각각 상승했다.
2022년 비만이 위험요인인 질병의 사망자 수는 11만 2161명으로, 사망에 이르게 하는 위험요인 5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1~4위는 고혈압, 흡연, 고혈당, 저체중 출생 등이 각각 차지했다.
10만 명당 비만 위험요인 사망률을 성별로 보면 남자224.9명가 여자212.7명보다 더 높았다.
다만 전체 사망자 중 비만 위험요인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여자31.0%가 남자29.2%보다 더 높아, 비만이 미치는 영향은 여자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비만은 조기사망에 영향을 주지만 60세 전후 정점에 도달한 후 이후에는 비만 외의 요인에 따른 사망자 비율이 높아진단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마약 범죄 10년 새 2.8배↑…10~20대가 35.6% 차지

통계청 제공
2023년 마약류 범죄로 단속된 인원은 2만 7611명으로 10년 전보다 2.8배 증가했다.
특히 마약류 공급 사범은 1만 2226명으로 10년 새 3.6배 늘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30.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30대24.2%, 40대14.2%, 60대 이상14.0%, 50대10.3%, 10대5.3% 등 순이었다.
약물로 인한 사망자는 2012년 255명에서 2021년 559명으로 2.2배 증가했다. 또 의료용 마약류로 인한 사망자 수도 같은 기간 44명에서 169명으로 3.8배 늘었다.
50~64세 신중년 여가활동 1위 TV 시청…月 여가비용 21.4만원

통계청 제공
2023년 50~64세 신중년이 가장 많이 참여했다고 꼽은 여가 활동은 TV 시청으로, 전체의 40.0%를 차지했다.
이어 산책 및 걷기10.3%, 모바일 콘텐츠 시청5.0%, 인터넷 검색 등4.2%, 스포츠 경기 간접관람2.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여가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산책 및 걷기8.9%가 가장 높았고, TV 시청8.5%, 자연 명승 및 풍경 관람6.5%, 등산5.3%, 골프5.1% 등 순이었다.
신중년은 비활동적 여가 참여가 많지만, 만족도는 활동적 여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2023년 신중년의 일평균 여가 시간은 평일 3.5시간, 휴일 5.4시간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여가 비용은 21만 4000원으로, 65세 이상12만 7000원보다 많고 15~49세22만 3000원보단 적었다.
중장년 주관적 웰빙 20·30대와 비슷…50대 여성 외로움 인지율 높아

통계청 제공
40~64세 중장년의 주관적 웰빙이 고령층보다 높고, 19~39세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주관적 웰빙은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걱정, 우울 등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를 측정한 지표다.
중장년 내에선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관적 웰빙이 낮으며, 부정 정서 경험은 50대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50대 여성은 사회적 교류가 가장 활발하나, 사회적 지지가 취약하고 외로움 인지율도 전 연령대 여성 중 가장 높았다.
이 밖에 60~65세는 사회적 관계 유무에 따른 주관적 웰빙 평균값이 40대와 50대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ss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분당 등 유휴부지에 7700가구 공급…관리처분 시기 조정도 검토[1기 신도시... 24.12.19
- 다음글궁궐·조선왕릉 방문객 1천489만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 24.1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