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업계, 2050 탄소중립 달성 위한 RD 순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12-19 14:40 조회 34 댓글 0본문
화석연료 대체 위한 연구성과 점검회의

전 세계 제조업 패러다임을 바꿀 온실가스 감축 현안과 관련해 국내 시멘트 업계가 발빠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시멘트협회회장 이현준는 ‘시멘트산업 탄소중립 핵심기술’의 2년차 연구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19일 밝혔다. 시멘트협회는 지난해부터 ‘국가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혼합시멘트 비중 확대와 화석연료 대체의 ‘투트랙’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철강, 석유화학과 함께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으로 꼽히는 시멘트는 온실가스 감축에 산업의 명운을 걸고 있다. 국내 시멘트 업계도 폐열회수 발전설비 도입과 폐합성수지의 대체연료 사용을 위한 투자를 강화해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해 오는 한편, 관련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정부도 지난해 ‘시멘트산업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 개발 사업에 역대 최대인 2826억원을 투자하며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시멘트 업계에서 집중적으로 공을 들이는 탄소중립 연구개발 분야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일반 시멘트의 주요 성분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클링커시멘트가 만들어지기 이전 단계 반제품 비율을 감축하기 위한 혼합시멘트 확대다. 시멘트 제조 공정상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90% 이상은 석회석을 고온소성해 제조하는 클링커에서 발생한다. 클링커는 콘크리트에 강도와 내구성에 관여하는 중요 성분인데, 탄소배출량이 적은 산업부산물 또는 천연물질로 대체하면 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게 된다. 시멘트 업계는 내년까지 고성능 클링커를 개발하고, 2030년까지 기존에 사용되던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시와 함께 석회석 미분말, 소성점토 같은 새로운 혼합재를 이용해 다양한 조합의 혼합시멘트를 개발하기 위해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두 번째는 연료 전환이다. 화석연료인 유연탄으로 석회석을 고온소성해 시멘트를 만드는 공정상 온실가스 배출이 불가피하다. 이에 유연탄의 65% 이상을 폐합성수지, 폐고무를 비롯한 가연성 순환자원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에 필수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뿐만 아니라 종전 매립처리돼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어, 업계는 대규모 설비투자를 단행하며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료대체 과제를 총괄하는 쌍용Camp;E 관계자는 “내년에는 올해 성과를 바탕으로 시제품 생산과 사용자 측면에서의 품질평가 등을 통해 KS 표준화와 상용화 기반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 밝혔다. 연료전환 과제를 총괄하는 아세아시멘트 관계자는 “연구개발이 완료되면 국내보다 연료대체율 수준이 높은 유럽연합EU 수준과 유사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의철 탄소중립협력단장은 “시멘트 업계의 탄소중립 의지가 아주 강한 만큼 올해 성공적인 연구개발 성과는 저탄소 산업으로 전환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다만 EU와 같이 혼합시멘트 확대 등을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갖춰져야 하는 만큼 협력단도 정부, 학계,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국내 산업표준인 KS의 제·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김승수 진심 고백 거절했는데…배우 양정아에게 벌어진 뜻밖의 일
▶ “이준석보다 더 어리다”....국힘 비대위원장으로 급부상한 ‘이 남자’
▶ 오늘의 운세 2024년 12월 19일 木음력 11월 19일
▶ “우와 당첨, 이건 자네가 긁어”…복권 1등 당첨되자, 동료에 ‘10억’ 양보한 남성
▶ [단독] 국민의힘, 오늘 초선 44명 모여 비대위원장 후보 논의키로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