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에 육아휴직자 2023년 첫 감소…사용률은 남녀 모두 증가
페이지 정보

본문
통계청 ‘육아휴직 통계’ 결과
총 19만5986명… 2023년比 3% 줄어
휴직사용 엄마 74%… 아빠의 3배
아빠 휴직 25.7%로 1년 새 1.3%P ↓
男 70% 대기업 소속… 女도 58%
출생아 부모 사용률은 1.6%P 증가
육아휴직자 수가 저출산 여파로 지난해 들어 처음으로 감소했다. 다만 제도 개선과 사회적 인식 확산 덕분에 사용 비율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아빠도 갈수록 늘고 있지만, 여전히 엄마가 3배가량 많았다. 아빠 육아휴직자 10명 중 7명은 종사자 300인 이상 기업체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쏠림은 여전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 통계’에 따르면 작년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시작한 이는 19만5986명으로 1년 전보다 3.0% 감소했다. 육아휴직자 감소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육아휴직자는 그동안 빠르게 증가해 왔다. 2010년 약 7만3000명에서 해마다 1만명가량 불어났다. 특히 ‘33제’부모 모두 육아휴직 시 3개월간 휴직급여율 상향 등가 시행된 2022년에는 15%나 급증하면서 20만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0∼8세 인구가 전년 대비 6.5% 감소한 데다 2022년 육아휴직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며 “육아휴직 비율은 계속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육아휴직 중인 아빠는 5만455명으로 전년보다 7.5% 감소했다. 엄마는 14만5531명으로 1.4% 줄었다.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중은 25.7%로, 전년27.0%보다 소폭 낮아졌다. 여성의 비중은 74.3%로, 남성의 3배 수준이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의 부모가 작년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32.9%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남성은 7.4%로 0.3%포인트, 여성은 73.2%로 2.0%포인트 각각 올랐다. 다만 육아휴직자 수는 8만7198명으로 1.0% 감소했다. 출생아 수가 2022년 24만9186명에서 2023년 23만28명으로 7.7% 줄어든 여파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출생한 아이 100명당 해당 부모 중 작년 육아휴직자는 37.9명으로 전년 대비 2.5명 늘었다. 육아휴직을 함께한 부부도 1만3336명으로 늘었다.
기업체 규모별로는 대기업 육아휴직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작년 육아휴직을 시작한 아빠의 70.0%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에 근무했다. 이어 50∼299명14.7%, 5∼49명11.0%, 4명 이하3.7% 순이었다. 엄마 육아휴직자 역시 58.2%가 300명 이상 기업체 소속이었다. 이어 5∼49명20.6%, 50∼299명14.8%, 4명 이하5.8%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을 시작한 남성이 종사한 산업별 비중은 제조업이 22.4%로 가장 높았고,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0.5%,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0.0%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9.4%,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4.6%, 교육 서비스업11.8% 순이었다.
올해 처음으로 집계된 시·도별 육아휴직자 수는 경기5만7718명, 서울3만6310명 순으로 많았고, 제주3004명가 제일 적었다. 세종은 3585명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육아휴직 사용률은 세종 37.0%, 강원 36.1%, 제주 35.3% 순으로 높았고 울산 29.7%, 경남 30.7% 순으로 낮았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우리가 반란군?" 국회 투입 군인들, 스트레스 극심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
▶ “전현무가 이상형” 홍주연 냅다 고백…아나운서 커플 또 탄생?
▶ 마흔 다 된 국민여동생…문근영, 살 찐 이유는 “인생 즐겼다”
▶ “우파 옹호하면 머저리냐”…‘계엄 환영→사과’ 차강석, 해고 통보 받았다
▶ 집들이서 친구 남편이 성추행, 남편은 친구와... 부부동반 만남의 막장 결말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총 19만5986명… 2023년比 3% 줄어
휴직사용 엄마 74%… 아빠의 3배
아빠 휴직 25.7%로 1년 새 1.3%P ↓
男 70% 대기업 소속… 女도 58%
출생아 부모 사용률은 1.6%P 증가
육아휴직자 수가 저출산 여파로 지난해 들어 처음으로 감소했다. 다만 제도 개선과 사회적 인식 확산 덕분에 사용 비율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아빠도 갈수록 늘고 있지만, 여전히 엄마가 3배가량 많았다. 아빠 육아휴직자 10명 중 7명은 종사자 300인 이상 기업체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쏠림은 여전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 통계’에 따르면 작년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시작한 이는 19만5986명으로 1년 전보다 3.0% 감소했다. 육아휴직자 감소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 |
경기도 고양시 한 유치원에서 학부모가 아이의 등원을 돕고 있다. 연합뉴스 |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0∼8세 인구가 전년 대비 6.5% 감소한 데다 2022년 육아휴직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며 “육아휴직 비율은 계속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육아휴직 중인 아빠는 5만455명으로 전년보다 7.5% 감소했다. 엄마는 14만5531명으로 1.4% 줄었다.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중은 25.7%로, 전년27.0%보다 소폭 낮아졌다. 여성의 비중은 74.3%로, 남성의 3배 수준이다.
![]() |
기업체 규모별로는 대기업 육아휴직자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작년 육아휴직을 시작한 아빠의 70.0%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에 근무했다. 이어 50∼299명14.7%, 5∼49명11.0%, 4명 이하3.7% 순이었다. 엄마 육아휴직자 역시 58.2%가 300명 이상 기업체 소속이었다. 이어 5∼49명20.6%, 50∼299명14.8%, 4명 이하5.8%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을 시작한 남성이 종사한 산업별 비중은 제조업이 22.4%로 가장 높았고,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20.5%,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0.0%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9.4%,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4.6%, 교육 서비스업11.8% 순이었다.
![]() |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맘앤베이비엑스포에 젖병이 진열돼 있다. 뉴스1 |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우리가 반란군?" 국회 투입 군인들, 스트레스 극심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
▶ “전현무가 이상형” 홍주연 냅다 고백…아나운서 커플 또 탄생?
▶ 마흔 다 된 국민여동생…문근영, 살 찐 이유는 “인생 즐겼다”
▶ “우파 옹호하면 머저리냐”…‘계엄 환영→사과’ 차강석, 해고 통보 받았다
▶ 집들이서 친구 남편이 성추행, 남편은 친구와... 부부동반 만남의 막장 결말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관련링크
- 이전글추경과 금리 인하…2개의 화살 놓고 고민 빠진 당국, 문제는 타이밍 24.12.18
- 다음글남성 육아휴직률 7.4%…갈 길 먼 2030 70% 정부 목표 24.1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