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울음소리 적게 들린다 했더니"…출생아 급감에 육아휴직 첫 감소
페이지 정보

본문
매년 증가세를 이어왔던 육아휴직자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인구감소 영향으로 육아휴직 대상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래서일까. 정부는 출산 장려를 위해 새해부터 육아휴직 사용 시 지급되는 육아휴직 급여를 월 150만원에서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한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육아휴직 통계’에 따르면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대상으로 지난해 육아휴직을 시작한 경우는 19만5986명으로 1년전 보다 3.0% 감소했다. 관련 통계가 제공된 2010년 이후로 육아휴직자가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0년 약 7만3000명 불과했던 육아휴직자는 2011년 9만명, 2012년 10만명, 2013년 11만명, 2014년 12만명, 2015년 13만명, 2016년 14만명, 2018년 15만명, 2019년 16만명, 2020년 17만명을 각각 웃돌았다. ‘3+3 육아휴직제’부모 모두 육아휴직시 3개월간 휴직급여율 상향 등가 시행된 2022년에는 15% 급증하면서 20만 명 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0~8세 인구가 전년대비 6.5% 감소한데다가, 2022년 육아휴직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며 “육아휴직자는 줄었지만 육아휴직비율은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육아휴직자 중 아빠는 5만455명으로 전년보다 7.5% 감소했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14만5531명으로 1.4% 줄었다.
육아휴직자 중 아빠의 비중은 25.7%로, 전년27.0%보다 낮아졌다. 엄마의 비중은 74.3%로. 아빠의 3배 수준이다.
연령대를 보면 아빠 육아휴직자가 엄마 보다 높았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30대 초반30∼34세이 41.3%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35∼39세이 33.5%, 40세 이상 15.4%, 30세 미만 9.9% 순이었다.
아빠는 30대 후반35∼39세이 38.2%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도 35.7%에 달했다.
우리나라는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가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다.
한편 내년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된다. 1년간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연간 받을 수 있는 최대 급여액은 2310만원이다. 기존보다 500만원 이상 늘어난다. 육아휴직 급여의 25%를 복귀 6개월 뒤 지급하는 사후지급금 제도도 폐지돼 앞으로는 육아휴직 기간에 급여 전액을 받는다.
고용노동부는 전날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개정안 시행일은 내년 1월 1일이다.
우선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월 15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100만원 인상된다. 휴직 1~3개월차는 250만원, 3~6개월차는 200만원, 7개월 이후부터는 160만원을 받는 방식이다. 현재 육아휴직을 1년 사용하면 최대 1800만원을 받지만, 내년부터는 510만원 늘어난 최대 231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우리가 반란군?" 국회 투입 군인들, 스트레스 극심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
▶ “전현무가 이상형” 홍주연 냅다 고백…아나운서 커플 또 탄생?
▶ 마흔 다 된 국민여동생…문근영, 살 찐 이유는 “인생 즐겼다”
▶ “우파 옹호하면 머저리냐”…‘계엄 환영→사과’ 차강석, 해고 통보 받았다
▶ 집들이서 친구 남편이 성추행, 남편은 친구와... 부부동반 만남의 막장 결말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
매년 증가세를 이어왔던 육아휴직자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게티이미지뱅크 |
2010년 약 7만3000명 불과했던 육아휴직자는 2011년 9만명, 2012년 10만명, 2013년 11만명, 2014년 12만명, 2015년 13만명, 2016년 14만명, 2018년 15만명, 2019년 16만명, 2020년 17만명을 각각 웃돌았다. ‘3+3 육아휴직제’부모 모두 육아휴직시 3개월간 휴직급여율 상향 등가 시행된 2022년에는 15% 급증하면서 20만 명 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0~8세 인구가 전년대비 6.5% 감소한데다가, 2022년 육아휴직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며 “육아휴직자는 줄었지만 육아휴직비율은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육아휴직자 중 아빠는 5만455명으로 전년보다 7.5% 감소했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14만5531명으로 1.4% 줄었다.
육아휴직자 중 아빠의 비중은 25.7%로, 전년27.0%보다 낮아졌다. 엄마의 비중은 74.3%로. 아빠의 3배 수준이다.
연령대를 보면 아빠 육아휴직자가 엄마 보다 높았다. 엄마 육아휴직자는 30대 초반30∼34세이 41.3%로 가장 많았고, 30대 후반35∼39세이 33.5%, 40세 이상 15.4%, 30세 미만 9.9% 순이었다.
![]() |
매년 증가세를 이어왔던 육아휴직자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게티이미지뱅크 |
우리나라는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가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다.
한편 내년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월 최대 250만원으로 인상된다. 1년간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연간 받을 수 있는 최대 급여액은 2310만원이다. 기존보다 500만원 이상 늘어난다. 육아휴직 급여의 25%를 복귀 6개월 뒤 지급하는 사후지급금 제도도 폐지돼 앞으로는 육아휴직 기간에 급여 전액을 받는다.
고용노동부는 전날 국무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개정안 시행일은 내년 1월 1일이다.
우선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월 15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100만원 인상된다. 휴직 1~3개월차는 250만원, 3~6개월차는 200만원, 7개월 이후부터는 160만원을 받는 방식이다. 현재 육아휴직을 1년 사용하면 최대 1800만원을 받지만, 내년부터는 510만원 늘어난 최대 2310만원을 받을 수 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우리가 반란군?" 국회 투입 군인들, 스트레스 극심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
▶ “전현무가 이상형” 홍주연 냅다 고백…아나운서 커플 또 탄생?
▶ 마흔 다 된 국민여동생…문근영, 살 찐 이유는 “인생 즐겼다”
▶ “우파 옹호하면 머저리냐”…‘계엄 환영→사과’ 차강석, 해고 통보 받았다
▶ 집들이서 친구 남편이 성추행, 남편은 친구와... 부부동반 만남의 막장 결말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관련링크
- 이전글"금감원 직원 사칭한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소명메일 열지마세요" 24.12.18
- 다음글[영상] "21평 땅에 갤러리와 엘리베이터가 있는 5층 단독주택이라니" 협소... 24.1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