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놓친 종양, AI가 발견하기도…의료현장 보조 역할"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유방암 인공지능AI 진단 설루션을 활용해 앞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종양을 찾은 적이 있어요. AI가 의료진의 보조로 기능하는 셈입니다."
16일 용인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이시은 교수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AI가 의료 현장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의료 AI 기업 루닛의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설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사용하고 있다.
루닛 인사이트 MMG는 유방 촬영 영상을 분석해 유방암 등 의심 부위를 검출하는 설루션이다. 환자가 유방촬영술을 받으면 유방 사진이 의료진 측에 전달되는데, 루닛 인사이트 MMG는 해당 사진에 종양이나 석회 등 의심 부위를 동그랗게 표시해준다. 유방 치밀도도 분석한다.
이날 기자가 직접 유방촬영술을 받은 뒤 루닛 인사이트 MMG로 분석된 사진을 보자 유방암 발생 가능성, 유방 치밀도 수준 등이 일반 환자도 알기 쉽게 직관적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루닛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 교수는 사람의 눈이 가지는 한계를 AI로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진 판독은 유방 영상의학을 전공한 전문의의 역할"이라면서도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인 만큼 놓치는 부분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대한 우려도 항상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로 사진을 한 번 더 확인하면 판독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의료진이 마음의 안정을 갖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실제 최근 눈으로 발견하지 못한 3㎜ 크기의 유방암을 AI가 찾아낸 적이 있다고 이 교수는 전했다.
유럽 등지에서는 유방 영상 등을 판독할 때 의사 2∼3명이 함께 일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의사 1명이 이를 전담한다. 이런 상황에서 AI는 업무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이 교수는 부연했다.
다만 AI가 영상의학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정상으로 판독될 가능성이 매우 높거나 복잡하지 않은 검사 등은 AI가 맡아 의료진 부담을 덜어줄 수는 있다"면서도 "영상 촬영 뒤 초음파, 자기공명영상검사MRI 등 추가 검사를 거쳐 환자를 위한 최종 결정을 내리는 일까지 AI가 전담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최근 젊은 층 유방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라며 "일각에서는 유방암 검진 등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한국유방암학회는 국내 유방암 진단 환자의 중간 나이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지만 40대 이하 젊은 층 발생률 역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다고 집계한 바 있다.
hanju@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민주 "육본 장교들, 4일 새벽 용산行"…2차계엄 모의 주장
- ☞ 홍준표 "탄핵 찬성 해당행위자 당원권 2∼3년 정지해야"
- ☞ 학교 앞에서 나눠준 초콜릿 먹은 초등생 7명 메스꺼움 호소
- ☞ "한국의 맥베스 부인"…英매체, 尹탄핵소추에 김건희 여사 조명
- ☞ 레인보우 출신 배우 김재경, 지난여름 비연예인과 결혼
- ☞ 명태균 대리인 "尹, 윤상현에 공천 지시…황금폰에 추가 내용"
- ☞ "전기충격" 외치면 몸 덜덜…후임병에 감전 놀이시킨 선임병
- ☞ 우체통 40년 만에 바뀐다…투함구 2개에 작은 소포까지 가능
- ☞ "가정폭력 반복 노출"…방심위, SBS 7인의 탈출에 주의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계엄 청구서는 어디로…탄핵 정국 멈춰 선 첨단산업·통신 법안 24.12.17
- 다음글신세계百, 설 예약 판매 진행…"예약 판매 물량 10% 늘려" 24.12.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